[미국 금리인상 D-1] 한국은행, 올해 마지막 기준금리 '동결 전망' 우세
이남의 기자
1,769
공유하기
![]() |
한국은행/사진=임한별 기자 |
한국은행은 내일(15일) 오전 9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올해 마지막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1.25%에서 동결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금융투자협회가 최근 펀드매니저, 애널리스트 등 채권시장 전문가 200명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8%가 동결을 내다봤다. 금융시장에서는 한은이 미국의 금리 인상 단행 가능성, 가계부채 등으로 당분간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국내외 상황을 주시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정책금리는 이날 새벽 발표된다. 불과 몇 시간을 사이에 두고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가 잇따라 결정된다. 연준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현재 0.25∼0.50%인 정책금리를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한은의 통화정책 결정에 고민스러운 부분이다. 기준금리를 내릴 경우 우리나라와 미국의 금리 차가 좁혀져 외국인 자본이 이탈할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반대로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올리면 국내 경기 부진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기준금리 상승에 따른 경제 충격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대내외적으로는 1300조원을 돌파한 가계부채는 한은의 금리인상을 제약하는 요인이다. 기준금리를 올리면 가계의 이자 부담을 가중해 민간소비에 충격을 줄 공산이 크고 기준금리를 내리면 가계부채 증가세를 부추길 우려가 있다.
올 해 마지막 금리결정에서 관전 포인트는 소수의견이 등장할지 여부다. 한은 금통위는 지난 6월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1.25%로 내린 뒤 7월부터 11월까지 다섯 달 연속 기준금리를 만장일치로 동결했다. 국내 경제상황을 우려해 기준금리 변동에 찬성하는 위원이 없어던 것. 만약 이번에 기준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소수의견이 나올 경우 내년에 추가적인 금리인하에 무게가 실린다.
한편 내년부터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는 연 12회에서 8회로 줄어든다. 내년 첫 회의는 1월13일 열린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이남의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금융팀 이남의 기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