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거액의 자산을 보유한 슈퍼리치들이 재산증여 수단으로 주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국세청에 따르면 2011~2015년 기간동안 증여재산의 평가액수가 50억원을 넘는 자산가들이 자녀·배우자에게 넘긴 재산 총액은 8조3335억원으로 집계됐다.


주식을 통한 증여재산가액은 5조1467억원으로 전체 액수의 61%를 차지했다. 현금 증여재산가액은 2조922억원(25.1%), 부동산 증여재산가액은 1조946억원(13.1%)으로 나타났다.

증여재산 규모와 관계없이 총 증여재산가액은 부동산이 34조8255억원으로 전체의 50%를 차지했다. 현금이 18조3029억원(25%), 주식은 16조2578억원(23.5%) 순으로 집계됐다.


주식을 통한 증여는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2001~2005년 동안 전체 증여재산가액 대비 부동산 비중은 70.7%, 주식은 12.2%였다. 2006~2010년에는 62.9%와 14.2%, 최근 5년간은 부동산 비중이 50%대로 줄어들었고 주식은 15.2%로 늘어났다. 주식을 활용한 부의 이전이 늘어나는 것은 최근 재산 증식이 주식 투자를 통해 이뤄진다는 점에서도 비슷하다.

양도소득세 과세대상 주식 양도차익은 2011년 6조8481억원에서 2015년 15조8966억원으로 늘어났다. 양도차익이 15조원을 넘어선 것은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처음이다.


국세청 관계자는 “주식 양도차익 규모가 급격히 늘어난 것은 주식 활황으로 주식을 통한 투자 수익이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라며 “최근 추세를 봤을 때 주식을 통한 부의 대물림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