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용인·김포 등 미분양 1년 새 1만여 가구 감소… 새 아파트 분양 탄력
김창성 기자
6,745
공유하기
![]() |
미분양 감소 추이(단위: 가구). /자료=국토부 |
1일 업계와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미분양현황 자료 등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기준 경기도 미분양 아파트는 총 1만3362가구로 전년 동기(2015년 12월) 2만5937가구 보다 1만2575가구 감소했다.
경기도 내 지역별 미분양 추이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파주시다. 파주시는 동기간 4221가구(4285→64) 감소로 미분양 물량이 대부분 소진됐다. 이어 ▲화성시 3377가구(3617→240) ▲용인시 2538가구(7237→4699) ▲김포시 2438가구(2708→270)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해당 지역서 공통적으로 미분양 물량이 많이 감소한 이유로는 교통호재를 꼽을 수 있다. 실제로 파주시는 수도권 2기신도시로 지정 됐음에도 불구하고 서울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이유로 미분양 적체가 심했던 지역 중 하나였다.
하지만 파주시는 국토부가 지난해 6월 발표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16~2025년)에 GTX·3호선 파주 연장안이 확정되면서 서울 접근성 개선에 대한 기대감으로 미분양 물량이 크게 감소했다. 파주시는 향후 GTX가 개통되면 운정신도시~강남까지 기존 1시간30분 이상 소요됐던 이동시간이 21분으로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화성시에서도 지난해 초 시장 분위기가 전반적으로 주춤하면서 미분양 물량이 늘었지만 곧바로 회복세에 접어들면서 물량이 대부분 소진됐다. 지난해 12월 개통한 SRT와 삼성 반도체공장, 삼성전자 화성캠퍼스, 화성동탄 일반산업단지 등의 호재가 미분양 감소의 주효한 원인으로 손꼽힌다.
화성시는 동탄2신도시를 중심으로 지난해 약 3만3981가구가 분양됐음에도 지난해 12월 기준 미분양 아파트는 총 240가구에 불과해 인기를 증명했다.
용인시에서는 2021년 개통예정인 제2경부고속도로와 제2외곽순환도로 등 광역 교통망 확충 계획으로 미분양 아파트가 줄었다.
김포시는 2018년 김포도시철도가 개통을 앞둔 데다 서울의 높은 전셋값 대비 상대적으로 저렴한 분양가로 인구유입이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미분양 물량 감소로 해당지역에 공급될 새 아파트 분양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올 하반기 운정신도시에서는 화성산업이 ‘운정신도시 화성파크드림(1049가구)’을 공급할 예정이다.
화성시에서는 현대산업개발이 동탄2신도시 A99·100블록에 짓는 ‘동탄2 아이파크(980가구)’를 분양 중이다. 이어 3월에는 화성 봉담2지구에서 ‘e편한세상 봉담(898가구)’이 분양을 앞두고 있다.
용인시에는 GS건설이 신봉동 일대에 ‘신봉1-2자이(789가구)’를 상반기 분양할 계획이다.
김포시에서는 3월 금성백조주택이 ‘김포한강 Ab-04 뉴스테이 예미지(1770가구)’를 분양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