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랄 레스토랑을 찾은 무슬림관광객.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머니S MNB, 식품 유통 · 프랜차이즈 외식 & 유망 창업아이템의 모든 것
할랄 레스토랑을 찾은 무슬림관광객. /사진제공=한국관광공사 @머니S MNB, 식품 유통 · 프랜차이즈 외식 & 유망 창업아이템의 모든 것
한국을 찾은 무슬림관광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관광공사가 1일 밝힌 '2016 방한 무슬림 관광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 한해 방한 무슬림관광객이 98만명으로 전년 77만명 대비 33% 증가했다. 이는 지난 한해 방한 관광객 증가율 30.3%를 상회하는 것이다. 


주요 국가별로는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를 비롯한 아시아지역에서 약 74만명, 아랍에미리트 등 중동지역에서 약 16만명, 기타 구미주 및 아프리카 지역에서 약 8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들의 관광 형태는 63%가 개별관광이었고 방문 목적은 여가·위락·휴가(70.3%)였다. 주요 방문지는 서울(93.1%)이 가장 많았고 가장 좋았던 관광지로는 고궁, 남이섬, 명동, 남산 순으로 꼽았다. 여행 만족도는 5점 만점 중 3.92점이이었고 72.4%가 재방문 의향을 밝혔다. 


무슬림관광객의 방한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여행 편의가 개선되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음식의 경우 만족도가 3.46점으로 평균 만족도보다 낮았다. 실제 응답자의 38.3%가 한국여행에서 필요한 개선사항 1순위로 음식을 꼽았다. 할랄 음식을 먹어야 하는 무슬림이기에 응답자의 27.4%는 식당 이용 대신 직접 조리하거나 한국에서 구입한 가공음식 또는 자국에서 가져온 음식을 먹은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무슬림문화권이라도 국가와 지역에 따라 차별화된 마케팅 활동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슬림관광객들이 전반적으로 쇼핑(66.1%)을 가장 선호하는 관광활동으로 선택했으나 아시아 무슬림은 명동과 동대문·남대문 시장을, 중동 무슬림은 소규모 상점과 백화점을 주로 이용했다. 식사의 경우 아시아 무슬림을 한식을, 중동 무슬림은 양식이나 프랜차이즈를 이용했다. 특히 중동과 터키 무슬림은 관광 이외에 비즈니스 방문이 많았고 소비액도 아시아 무슬림에 비해 높았다. 


한국관광공사 박정하 해외마케팅실장은 "일본 등 경쟁국가와 비교해 할랄 식당, 기도실 등 무슬림 인프라가 부족한데도 100만명에 가까운 무슬림이 방문한 것은 무슬림 방한 시장이 그만큼 성장가능서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면서 "앞으로 할랄 레스토랑 위크 개최, 할랄 식당·기도실· 선호관광지 등이 포함된 무슬림 친화 관광루트 발굴 사업 등 '무슬림 프렌들리 코리아'가 되기 위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