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코드·맥시마 등 19개차종 5204대 리콜
최윤신 기자
3,461
공유하기
![]() |
국토교통부가 혼다코리아와 한국닛산 등 7개사에서 제작하거나 수입·판매한 승용차와 이륜차에서 제작결함이 발견돼 시정조치(리콜)한다고 2일 밝혔다.
혼다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어코드는 충돌로 인한 동승자석 에어백 전개 시 금속 파편이 동승자 등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발견됐다. 리콜대상은 2011년 8월2일부터 2012년 7월26일까지 제작된 1407대다.
혼다 오딧세이 승용차는 2열 좌석 고정 부품의 제작결함으로 주행 중 좌석이 움직여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발견됐다. 리콜대상은 2012년 5월29일부터 2015년 9월9일까지 제작된 1172대다.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6일부터 혼다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다.
한국닛산에서 수입·판매한 맥시마 등 2개 차종은 브레이크 유압조정장치의 제작결함으로 인해 주행 중 차량 안정성 저하가 발견됐다.
리콜대상은 2015년 6월4일부터 2016년 8월18일까지 제작된 맥시마 등 2개 차종 986대다. 해당 소유자는 한국닛산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수리가 가능하다.
2013년 3월15일부터 2014년 9월18일까지 제작돼 FMK가 수입·판매한 마세라티 기블리 S Q4 등 6개 차종 799대는 실제 기어가 주차 상태에 놓여있지 않음에도 운전자가 주차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고 하차하는 경우 기어 위치에 대한 충분한 경고가 없어 운전자나 승객이 움직이는 차에 치이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발견됐다.
![]() |
2016년 11월21일부터 12월21일까지 제작된 마세라티 르반떼 S 승용차 50대는 엔진제어장치(ECM) 소프트웨어 오류로 시동이 꺼지거나 기어가 중립 상태로 변속될 가능성이 있다. 해당 자동차 소유자는 FMK 서비스센터에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 무상수리가 가능하다.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차량 중 2016년 7월4일부터 10월10일까지 제작된 디스커버리 스포츠 등 2개 차종 483대는 엔진 배선결함으로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다.
2016년 4월8일부터 8월25일까지 제작된 이보크 등 2개 차종 승용자동차 25대의 경우 전방 완충장치의 하단부 지지대 고정 볼트의 조립 불량이 발견됐다. 해당 소유자는 재규어랜드로버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다.
FCA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짚그랜드체로키 3.6 승용차는 엔진조립 시 연료호스가 손상돼 연료누유로 인한 화재발생 가능성이 있다.
리콜대상은 2015년 4월13일부터 2016년 4월21일까지 제작된 짚그랜드체로키 3.6 15대다. 해당 소유자는 FCA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수리가 가능하다.
![]() |
포르쉐코리아에서 수입·판매한 박스터S 등 3개 차종은 운전석이나 조수석 사이드에어백의 제조불량으로 충돌 시 에어백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리콜대상은 2016년 9월30일부터 10월12일까지 제작된 박스터S 등 3개 차종 5대다. 해당 소유자는 3일부터 포르쉐코리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수리를 받을 수 있다.
모토 로싸에서 수입·판매한 두카티 스크램블러 등 2개 차종 이륜차는 안전장치 오작동으로 주행 중 시동이 꺼지고 주차 시 차량이 넘어질 가능성이 발견됐다.
리콜대상은 2015년 4월10일부터 2016년 11월23일까지 제작된 두카티 스크램블러 등 2개 차종 262대며 6일부터 모토 로싸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수리를 받을 수 있다.
이번 리콜과 관련해 해당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으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된다. 리콜 시행 전에 차량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