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티자이 2차 투시도. /사진=GS건설
오산시티자이 2차 투시도. /사진=GS건설
서울에서 부산까지 이어지는 경부고속도로를 중심으로 한 이른바 ‘경부축 주거 벨트’에서 올해 13만8000여 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3일 부동산시장 분석업체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 한해 경부축 주거벨트 분양 예정단지는 150개 단지 13만8077가구(임대 제외, 총 가구수 기준)로 집계됐다.


이중 일반분양은 9만4781가구로 상반기에 78개 단지에서 6만6614가구가, 하반기에는 72개 단지 7만1463가구가 공급될 예정이다.

사업지 150곳 가운데 47곳이 단지규모 1000가구 이상 대단지로 전체 분양가구수의 58%(8만316가구)를 차지한다.


수도권 주요분양 단지는 ▲GS건설 오산시티자이2차 ▲대우건설 비전 레이크 푸르지오 ▲동원개발 동탄2신도시 2차 동원로얄듀크 ▲호반건설 성남 고등 호반베르디움 등이다.

지방은 ▲GS건설 서청주파크자이 ▲고려개발(주) e편한세상 용운 ▲현대산업개발 구미 원평 아이파크 ▲한화건설 부산 연지 꿈에그린 ▲금강주택 울산 송정지구 금강펜테리움 1차 등이다.


경부축 주거벨트는 서울 강남을 기준으로 부산까지 경부고속도로에 인접한 핵심주거지역을 말한다. 판교·광교·동탄 등 인기 신도시와 대전·대구·부산·울산 등 지방 광역시 대부분이 이 라인에 속한다.

특히 이 주거벨트는 교통환경과 생활인프라가 탁월해 이전부터 수요자들에게 인기 주거지로 손꼽혔다.


실제 지난해 경부축 주거벨트에서 분양했던 아파트 청약 강세현상은 두드러졌다.

동탄2신도시의 경우 지난해 평균 청약경쟁률은 31.9대 1로 기록돼 2기 신도시 평균 청약경쟁률(18.61대1)보다 훨씬 높은 수치를 보였다.

지방에서도 지난해 10월 울산에서 분양했던 ‘힐스테이트 수암’의 경우 1순위에서 평균 110.17대 1의 청약경쟁률을 기록하며 울산 최고 청약경쟁률을 갈아치웠다.

업계 관계자는 “기존 주요 도시를 비롯해 수도권 택지지구조성, 지방 도시개발사업, KTX역 신설, 고속도로 교통호재 등 경부측 라인을 중심으로 굵직한 개발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면서 경부라인에 대한 수요층이 두터운 편”이라며 “특히 올해 이곳에 대단지 브랜드아파트 공급이 대거 예정돼 있어 실수요자 중심으로 높은 관심이 예상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