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리튬 상업생산 시작… 노트북 배터리 7000만개 분량
박찬규 기자
2,182
공유하기
![]() |
리튬공장 준공식 권오준회장 리튬 점검 /사진=포스코 제공 |
포스코가 독자기술 개발 7년 만에 국내 처음으로 리튬 상업 생산을 시작한다.
포스코는 7일 광양제철소 내 리튬생산 공장에서 연산 2500톤 규모의 리튬생산(PosLX, POSCO Lithium Extraction) 공장 준공식을 가졌다.
이날 권오준 포스코 회장은 인사말에서 “많은 제약과 난관에도 오늘의 결실을 맺은 건 비전과 열정이 뚜렷했기 때문”이라며 “배터리용 리튬은 물론 양극재용 고순도 니켈과 양음극재 개발 등 에너지소재 사업에서 차별화된 기술경쟁력으로 미래 신성장사업을 육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종주 산업통상자원부 과장은 “우리나라는 세계적인 이차전지 생산국임에도 불구하고 주원료인 배터리용 탄산리튬은 전량 수입에 의존한다”면서 “포스코가 배터리용 탄산리튬을 자체 생산함에 따라 이차전지 제조기업들이 원료걱정 없이 경쟁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동안 국내 이차전지 제작업체들은 국내 리튬 공급사가 없어 전량 수입에 의존했으나 이번 포스코의 리튬 생산으로 원료 수급에 숨통을 트일 전망이다.
포스코는 이번 PosLX 공장으로 연간 2500톤의 탄산리튬을 이차전지용 양극재 제작업체인 포스코ESM과 이차전지 제작업체인 LG화학, 삼성SDI에 공급할 예정이다. 탄산리튬 2500톤은 노트북용 배터리 약 7000만개를 만들 수 있는 양이다.
포스코는 이번 PosLX 공장에 사용되는 원료인 인산리튬을 폐이차전지 재활용업체로부터 공급받음으로써 환경 이슈인 폐이차전지의 재활용 분야에서도 한발 앞서 대응할 수 있게 됐다. 지난 1월 폐이차전지에서 추출한 인산리튬으로 초도생산한 탄산리튬을 시험 평가한 결과, 입도, 순도, 충방전 효율과 용량 등 품질 기준에서 기존 제품과도 동등한 수준임을 확인했다.
향후 포스코는 해외 염호 확보를 통해 탄산리튬의 원료인 인산리튬도 독자적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박찬규 기자
자본시장과 기업을 취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