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생 3명 중 1명, "교복 구매 시 '디자인·핏' 중요해"
강인귀 기자
3,857
공유하기
교복 브랜드 엘리트가 새해를 맞아 초중고생 632명을 대상으로 1월 11일부터 2주간 형지엘리트 공식 SNS채널을 통해 실시한 ‘2017년 학생들이 원하는 신학기 교복’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 신학기 교복 구매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디자인·핏’
이에 따르면 학생들은 신학기 교복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 ‘디자인·핏(34.4%)’을 1위로 선정했다. 이어 ‘원단(15%)’, ‘기능(13.9%)’, ‘광고모델(11.9%), ‘브랜드(11.7%)’ 순으로 응답했다.
응답자를 성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남녀학생 모두 교복 디자인·핏을 가장 중요시하지만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디자인·핏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핏이 가장 중요하다는 남학생은 30.8%였으며, 여학생은 36.3%로 남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남학생은 2위로 ‘원단(17.6%)’, 3위 ‘기능(15.2%)’을 선택했지만, 여학생은 ‘광고모델(16.2%)’, ‘원단(13.6%)’ 순으로 응답해 성별별로 교복 구매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복 착용 시 가장 편리할 것 같은 교복 기능은 ‘스판 원단’
또한 학생들은 교복 착용 시 가장 편리할 것 같은 기능으로 ‘스판 원단(25.6%)’을 선택했다. 이어 근소한 차이로 ‘오염방지 셔츠’(23.7%)’를 선정했다. 이는 장시간 교복 착용으로 활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교복에 때가 쉽게 생길 가능성 또한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성별로 분석한 결과, 남녀학생이 선택한 편리기능은 다르게 나타났다. 남학생은 1위 ‘스판원단(29.2%)’, 2위 ‘오염방지셔츠(20.8%)’를 꼽아 활동성을 추구했지만, 여학생은 1위로 ‘오염방지 셔츠 (25.6%)’, 2위로 ‘허리·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커트·바지(24.8%)’를 꼽아 청결함과 깔끔함을 우선순위로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새로 추가됐으면 하는 교복 기능으로는 ‘방수’, ‘변색방지’, ‘손목 및 카라 탈부착’ 등을 꼽았으며, 일부 기능들은 2017년 신학기 교복 기능으로 반영됐다.
◆ 학교 주관구매제도에서 ‘교복 품질’ 중요, ‘교복 품질 저하’ 우려
학생들은 학교 주관구매제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과 우려되는 부분으로 교복의 ‘가격’보다는 ‘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응답한 초중고생 과반수 이상은 학교 주관구매제도 시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교복 품질(56.4%)’을 선택했다. 이어 ‘신뢰도 높은 브랜드·업체 선정(25.7%)’과 ‘최저가 교복 가격(10.7%)’ 순이었다.
반면 가장 우려되는 점으로 ‘낮은 가격에 따른 품질저하(37.4%)’가 선정됐으며, ‘교복을 입어보지 못하고 구매(31.4%)’, ‘구매 후 A/S처리 부실(13.7%)’이 뒤를 이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원하는 교복 브랜드 구매 불가’ 등이 있었다.
◆ 신학기 교복 구매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디자인·핏’
이에 따르면 학생들은 신학기 교복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 ‘디자인·핏(34.4%)’을 1위로 선정했다. 이어 ‘원단(15%)’, ‘기능(13.9%)’, ‘광고모델(11.9%), ‘브랜드(11.7%)’ 순으로 응답했다.
응답자를 성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남녀학생 모두 교복 디자인·핏을 가장 중요시하지만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디자인·핏을 더욱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자인·핏이 가장 중요하다는 남학생은 30.8%였으며, 여학생은 36.3%로 남학생 보다 높게 나타났다.
반면, 남학생은 2위로 ‘원단(17.6%)’, 3위 ‘기능(15.2%)’을 선택했지만, 여학생은 ‘광고모델(16.2%)’, ‘원단(13.6%)’ 순으로 응답해 성별별로 교복 구매 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사진=엘리트학생복 |
◆교복 착용 시 가장 편리할 것 같은 교복 기능은 ‘스판 원단’
또한 학생들은 교복 착용 시 가장 편리할 것 같은 기능으로 ‘스판 원단(25.6%)’을 선택했다. 이어 근소한 차이로 ‘오염방지 셔츠’(23.7%)’를 선정했다. 이는 장시간 교복 착용으로 활동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교복에 때가 쉽게 생길 가능성 또한 높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성별로 분석한 결과, 남녀학생이 선택한 편리기능은 다르게 나타났다. 남학생은 1위 ‘스판원단(29.2%)’, 2위 ‘오염방지셔츠(20.8%)’를 꼽아 활동성을 추구했지만, 여학생은 1위로 ‘오염방지 셔츠 (25.6%)’, 2위로 ‘허리·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커트·바지(24.8%)’를 꼽아 청결함과 깔끔함을 우선순위로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새로 추가됐으면 하는 교복 기능으로는 ‘방수’, ‘변색방지’, ‘손목 및 카라 탈부착’ 등을 꼽았으며, 일부 기능들은 2017년 신학기 교복 기능으로 반영됐다.
◆ 학교 주관구매제도에서 ‘교복 품질’ 중요, ‘교복 품질 저하’ 우려
학생들은 학교 주관구매제도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점과 우려되는 부분으로 교복의 ‘가격’보다는 ‘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응답한 초중고생 과반수 이상은 학교 주관구매제도 시행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교복 품질(56.4%)’을 선택했다. 이어 ‘신뢰도 높은 브랜드·업체 선정(25.7%)’과 ‘최저가 교복 가격(10.7%)’ 순이었다.
반면 가장 우려되는 점으로 ‘낮은 가격에 따른 품질저하(37.4%)’가 선정됐으며, ‘교복을 입어보지 못하고 구매(31.4%)’, ‘구매 후 A/S처리 부실(13.7%)’이 뒤를 이었다. 기타 의견으로는 ‘원하는 교복 브랜드 구매 불가’ 등이 있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