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박영수 특별검사팀 재소환을 앞두고 제기된 각종 의혹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해 눈길을 끈다. 박근혜·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진 이후 지속적인 여론의 십자포화를 맞으며 정당한 해명도 역풍을 부를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의혹 해명에 소극적이던 기존 행보와 대조적이다.


삼성그룹은 지난 12일 밤 다음날 가판에 보도될 삼성 관련 보도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했다.

우선 삼성이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터진 이후에도 최씨의 딸 정유라씨에게 30억원 상당의 명마를 지원했다는 의혹에 대해 “국정농단 의혹이 불거진 이후 최순실에 대해 추가 우회지원을 한 바 없으며 블라디미르 구입에도 일절 관여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달 19일 구속영장 기각에 따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귀가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달 19일 구속영장 기각에 따라 경기 의왕시 서울구치소에서 귀가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어 “박근혜 대통령이 최씨 지원을 부탁한 사람은 이 부회장이 유일하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와 관련해 “박 대통령이 이 부회장과의 독대에서 승마지원에 대한 언급 외에 최순실·정유라 등 특정인을 거론해 지원 요청한 사실은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특검팀의 이 부회장 재소환 관련 핵심 의혹인 제일모직-삼성물산 합병에 따른 삼성의 신규 순환출자 고리 해소를 위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삼성SDI주식 처분 입장 변경(1000만주→500만주)과 관련해서는 “제일모직과 삼성물산의 합병과 관련된 순환출자 해소 과정에서 어떠한 특혜를 받은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삼성이 중간금융지주회사법 입법을 추진시키기 위해 관련 부처에 로비했다”는 보도와 관련해선 “지난해 초 금융위원회와 금융지주회사 추진에 대해 실무차원에서 질의한 바 있으나 금융위가 부정적 반응이어서 이를 철회한 바 있다”며 “금융지주회사는 중간금융지주회사와는 전혀 다른 사안이다”고 반박했다. 


이와 같은 삼성의 적극적 해명은 이 부회장의 특검팀 재소환을 앞두고 삼성 관련 각종 의혹이 확산되는 것을 조기에 차단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한편 특검팀은 13일 오전 9시30 박 대통령과 최씨에게 뇌물을 제공한 혐의로 이 부회장을 재소환한다. 특검팀이 이 부회장을 다시 소환하는 것은 지난달 19일 법원의 구속영장 기각 이후 25일 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