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물가지수 및 등락률/자료=한국은행
수출물가지수 및 등락률/자료=한국은행

수출입 물가가 다섯달째 동반 상승했다. 국내 물가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수입물가가 25개월래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1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7년 1월 수출입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2010=100, 원화 기준)는 84.91로, 지난해 12월(83.14)보다 2.1% 올랐다. 수입 물가지수는 지난해 9월부터 5개월 연속 상승하면서 2014년 12월(86.54) 이후 2년 1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서도 13.2% 급등했다. 상승률만 놓고 보자면 2011년 10월(14.5%) 이후 5년 3개월 만에 가장 컸다.

한은 측은 "수입 물가가 급등한 것은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의 영향 때문"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가 주로 수입하는 중동산 원유의 기준인 두바이유가 배럴당 평균 53.71달러로 한 달 새 3.1% 올랐다. 이와 함께 지난달 원/달러 환율 역시 1185.10원으로 전달보다 0.2% 높았다.

용도별로 보면 원재료가 광산품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월보다 3.4% 올랐고 중간재도 2.2% 상승했다. 특히 중간재 중 석탄 및 석유제품의 상승 폭이 7.1%로 가장 컸고 화학제품(3.8%)도 많이 올랐다.


지난달 수출물가 지수도 87.31로, 지난해 12월에 비해 1.1% 올랐다. 수출물가도 5개월째 올라 2014년 11월(88.57) 이후 2년 2개월 만에 최고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서도 7.4% 상승했다. 상승률 역시 2009년 4월(7.7%) 이후 최고치다.

수출물가가 오른 것도 원/달러 환율의 영향이 컸고 주요 수출 품목인 전기 및 전자기기 가격 상승도 원인으로 분석됐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이 전월보다 2.5% 올랐고 공산품은 1.1% 상승했다. 공산품 중에는 석탄 및 석유제품과 제1차금속이 각각 2.7% 오름폭을 보였고 화학제품은 2.6%, 전기 및 전자기기는 1.1% 각각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