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학부모, 새 학기 스트레스 원인 1위는 '교우관계'
강인귀 기자
8,275
공유하기
상당수의 학부모가 자녀의 새 학기를 앞두고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월 10일부터 2월 15일까지 자녀를 둔 학부모 562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에 따르면 학부모의 70.5%는 자녀의 새 학기를 앞두고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스트레스의 원인(복수응답)으로는 ‘자녀의 친구 관계에 대한 걱정’(67.4%)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혔다. 이어 ‘새로운 선생님과의 관계’(49.5%), ‘등교∙하원∙학원 등 스케줄 관리’(36.6%), ‘새로운 교육 정보 수집’(32.6%), ‘자녀의 성적 관리’(30.8%), ‘새로운 학부모 모임’(28.8%) 순이었다.
학부모의 입장에서 바라본 새 학기를 앞둔 자녀의 심경은 ‘부담감∙기대감 반반이다’(61.7%)를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부담감이 기대감보다 더 크다’(19.8%), ‘기대감이 부담감보다 더 크다’(18.5%) 순의 답변이 이어졌다.
한편 학부모 50.5%는 자녀가 새 학기를 앞두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나타나는 ‘새 학기 증후군’을 겪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없다’라는 의견은 33.8%, ‘잘 모르겠다’는 의견은 15.7%였다.
자녀가 겪은 새 학기 증후군 증상(복수응답)으로는 ‘잦은 투정’을 부린다는 응답이 30.6%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불안 증세’(24.6%), ‘무기력함’(16.9%), ‘수면장애’(12.3%), ‘복통∙두통’(11.3%), ‘소화 불량∙식욕 감소’(6.7%), ‘등교·등원 거부’(4.9%), ‘외출 거부’(3.9%) 순이었다.
그리고 자녀가 새 학기를 앞두고 가장 불안해 하는 요소로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50.5%)을 꼽았다. 이어 ‘새로운 친구와의 관계’(15.8%), ‘늘어나는 학업량’(13.2%), ‘성적’(7.4%), ‘방학과는 다른 규칙적인 생활’(6.8%), ‘새로운 선생님과의 관계’(5.8%) 순으로 답변했다.
학부모들이 자녀의 새 학기 증후군 극복을 위해 신경 쓰고 있는 부분(복수응답)은 ‘칭찬과 격려를 통한 자신감 부여’(41.5%)가 1위로 꼽혔다.
이어 ‘규칙적인 생활 습관 만들기’가 27.1%, ‘대화를 통한 안정감 부여’(26.1%), ‘자기주도적 학습 습관 만들기’(22.2%), ‘균형 잡힌 식단으로 건강 관리’(15.5%), ‘운동을 통한 체력 관리’(7.7%), ‘자녀의 인맥 관리’(4.9%), ‘위생 및 안전 관리’(3.5%), ‘외모 관리(2.5%) 순이었다.
![]() |
/사진=윤선생 |
이에 따르면 학부모의 70.5%는 자녀의 새 학기를 앞두고 스트레스를 받은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스트레스의 원인(복수응답)으로는 ‘자녀의 친구 관계에 대한 걱정’(67.4%)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혔다. 이어 ‘새로운 선생님과의 관계’(49.5%), ‘등교∙하원∙학원 등 스케줄 관리’(36.6%), ‘새로운 교육 정보 수집’(32.6%), ‘자녀의 성적 관리’(30.8%), ‘새로운 학부모 모임’(28.8%) 순이었다.
학부모의 입장에서 바라본 새 학기를 앞둔 자녀의 심경은 ‘부담감∙기대감 반반이다’(61.7%)를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어 ‘부담감이 기대감보다 더 크다’(19.8%), ‘기대감이 부담감보다 더 크다’(18.5%) 순의 답변이 이어졌다.
한편 학부모 50.5%는 자녀가 새 학기를 앞두고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지 못해 나타나는 ‘새 학기 증후군’을 겪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다. ‘없다’라는 의견은 33.8%, ‘잘 모르겠다’는 의견은 15.7%였다.
자녀가 겪은 새 학기 증후군 증상(복수응답)으로는 ‘잦은 투정’을 부린다는 응답이 30.6%로 가장 많았다. 이어 ‘불안 증세’(24.6%), ‘무기력함’(16.9%), ‘수면장애’(12.3%), ‘복통∙두통’(11.3%), ‘소화 불량∙식욕 감소’(6.7%), ‘등교·등원 거부’(4.9%), ‘외출 거부’(3.9%) 순이었다.
그리고 자녀가 새 학기를 앞두고 가장 불안해 하는 요소로는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50.5%)을 꼽았다. 이어 ‘새로운 친구와의 관계’(15.8%), ‘늘어나는 학업량’(13.2%), ‘성적’(7.4%), ‘방학과는 다른 규칙적인 생활’(6.8%), ‘새로운 선생님과의 관계’(5.8%) 순으로 답변했다.
학부모들이 자녀의 새 학기 증후군 극복을 위해 신경 쓰고 있는 부분(복수응답)은 ‘칭찬과 격려를 통한 자신감 부여’(41.5%)가 1위로 꼽혔다.
이어 ‘규칙적인 생활 습관 만들기’가 27.1%, ‘대화를 통한 안정감 부여’(26.1%), ‘자기주도적 학습 습관 만들기’(22.2%), ‘균형 잡힌 식단으로 건강 관리’(15.5%), ‘운동을 통한 체력 관리’(7.7%), ‘자녀의 인맥 관리’(4.9%), ‘위생 및 안전 관리’(3.5%), ‘외모 관리(2.5%) 순이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