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연장. 오늘(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4당 원내대표가 회동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은 국민의당 주승용·더불어민주당 우상호·정세균 국회의장·자유한국당 정우택·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왼쪽부터). /자료사진=뉴시스
특검 연장. 오늘(23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장실에서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4당 원내대표가 회동 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은 국민의당 주승용·더불어민주당 우상호·정세균 국회의장·자유한국당 정우택·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왼쪽부터). /자료사진=뉴시스

특검 연장을 위한 특검법 개정안의 국회처리가 무산됐다. 오늘(23일) 정세균 국회의장과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자유한국당 정우택, 국민의당 주승용,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회동을 가졌다.

이날 야당은 한 목소리로 특검 연장을 강조,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를 즉각 수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우상호 원내대표는 특검법 제정 당시 여당의 원내수석부대표였던 김도읍 자유한국당 의원이 2차 수사기한 연장에 동의했다고 주장하며 지금이라도 황교안 대행이 법 취지를 살려야 한다고 밝혔다.


정세균 의장도 이같은 의견에 동의, 황 대행이 법을 자의적으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특검법의 취지를 살려 특검이 원하는 연장에 동의해야 하고 이를 독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원내대표 모두의 명의로 특검 연장에 동의하라고 황 대행에 서한을 보내자고 했으나 이에 대해 거부한 것으로 확인됐다.


정 원내대표는 특검법 개정안의 직권상정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야당은 황 대행이 특검 연장에 동의하지 않으면 특검법 개정안을 직권상정해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정 원내대표는 합의정신에 어긋나다며 반대 의사를 분명히 했다고 복수의 참석자들은 전했다.

이에 대해 정세균 의장은 "정의화 국회의장 시절에도 (테러방지법을) 직권상정한 사례가 있고 다수의 법학자들은 대통령이 직무정지된 현 상황이 비상사태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많다"며 "특검법 개정안을 직권상정 할지 말지는 나의 권한"이라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이로써 박영수 특검은 황교안 대행이 수사기간 연장을 수용하지 않는 이상 오는 28일 활동을 종료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