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한국경제가 미국의 금리인상과 환율조작국 지정,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등 폭풍 앞에 섰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은 없어졌지만 이 같은 악재에 한국경제에 긴장감이 맴돈다.

오는 15~16일(현지시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1340조원을 넘어선 가계부채로 인해 경제위기가 촉발될 수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가계 이자부담이 연간 8조원 늘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우리나라를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는 상황도 악재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미국 내 조달시장 진입이 금지되고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압박을 받을 수 있다.

중국의 사드 보복도 점차 강화되는 분위기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국내 콘텐츠·관광·소비재 기업의 90%가 이미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피해를 보고 있다. 사드 배치가 급물살을 타기 시작한 지난달 말 이후 중국계 자본도 썰물처럼 빠져나가고 있다.


박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되긴 했지만 미국의 금리인상과 환율조작국 지정, 중국의 사드 보복 등의 악재가 한국경제를 둘러싼 상황이다.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중국과의 갈등으로 한국경제가 올해 기존 성장률 전망치(2.5%) 이상의 성장을 달성할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현대경제연구원도 사드 보복을 한국경제를 위협하는 요소 중 하나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