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조리·반(半)조리 반찬을 비롯한 가정 간편식 시장 규모는 지난해 1조7000억원에 이어 올해 2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한다. 창업시장내에서도 새로운 유망 아이템으로 반찬 가게가 급부상하는 추세이다. 

집밥, 혼밥, 1인 가구는 물론 고령화, 일하는 여성 증가 등 사회 트렌드와 맞물리면서 동네마다 반찬 가게가 새롭게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모든 반찬가게가 호황을 누리는 것은 아니다.


성공한 반찬가게의 차이점은 무엇일까?

얼마전 반찬가게 ‘진이찬방’을 오픈한 창원장천점의 김민정 점주는 “무엇으로 어떻게 만드느냐가 관건이다.”라고 자신있게 말했다. 
반찬가게 창업 나도 성공할 수 있을까?

오픈이후 일매출 150만원에 육박하는 매출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김 점주는 “좋은 식재료로 정직하게 만드는게 최고의 목표이다. 같은 엄마의 입장에서 가족의 식사를 준비하는 마음으로 정성껏 만들고 있다. 원가가 높더라도 국내산 식재료를 우선으로 하며 화학조미료를 가미하지 않은 건강한 반찬을 만들기 위해 노력중이다.”라고 밝혔다.

이같은 김점주의 성공적인 창업은 기본을 지킨 철저한 품질관리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바쁜 일상의 현대인들은 삶의 질이 향상된 만큼 간편한 한 끼이지만 건강한 음식을 선호한다. 그에 따라 집밥과 같은 맛을 주는 김점주의 반찬가게는 오픈과 동시에 지역내 주부들의 입맛을 정확히 맞추며 성공적인 창업을 이루었다.

매일 매일 매장에서 직접 요리하는 집밥 컨셉의 반찬가게 ‘진이찬방’은 이같은 소비자의 취향과 트랜드를 반영한 운영으로 전국적으로 선풍적인 인기몰이 중이다.

12평 남짓의 적은 평수로도 창업이 가능하며 철저한 품질관리와 초보자도 전문가로 양성해주는 교육시스템을 통해 진입장벽을 낮춘 것도 가맹점 증가의 한몫을 하고 있다.

프랜차이즈 반찬가게 유망창업아이템으로 인정받고 있는 진이찬방 이석현 대표는 “반찬가게는 반찬이 맛있어야 한다. 맛있는 반찬을 위해서는 정직한 재료가 핵심이다. 합리적인 가격과 함께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적극 반영한 시스템이어야만 반찬가게간의 경쟁에서 이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소비자의 호평속에 전국적인 인기몰이 중인 반찬전문점 ‘진이찬방’은 상반기내 100호점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을 뿐 아니라 예비창업자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자세한 문의는 홈페이지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