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제주 4.3사건. 사진은 제68주년 4.3 희생자 추념식. /사진=뉴스1
제주 4.3. 제주 4.3사건. 사진은 제68주년 4.3 희생자 추념식. /사진=뉴스1

더불어민주당은 오늘(3일) "2017년 4월3일, 제주 4.3 평화공원에서 내외 주요 인사와 제주도민, 그리고 4·3희생자 유족 등 1만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69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을 거행했다"고 말했다.

오영훈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제주 4.3 으로 인해 사망하거나 행방불명된 사람, 후유장애가 남은 사람, 수형자 등은 수만명에 이르고, 그 가족들은 수십년 동안 질시와 냉대 속에 피맺힌 한을 안고 살아 왔다"고 밝혔다.


오 원내대변인은 "국가 공권력에 의해 억울하게 희생된 분들의 넋을 추모하며, 아직까지 깊은 상처를 안고 살아가는 제주도민 여러분께 위로의 마음을 전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2000년부터 4.3특별법이 시행되고 2003년 대통령의 공식 사과와 정부 조사보고서 발간, 2014년 4.3 희생자 추념일 지정 등이 이루어짐에 따라 진상 규명과 명예 회복 사업 등에 진척을 보이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이명박·박근혜정부 9년 동안 4.3역사 왜곡과 폄훼, 국정교과서 추진 등이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대통령이 한 번도 4.3위령제에 참석하지 않아 4.3 유족과 제주도민의 분노를 산 바 있다"고 말했다.

그는 "4.3의 실체적 진실 규명과 희생자와 그 유족에 대한 명예 회복 조치는 여전히 미진하다. 제주 4.3이 국가 폭력에 대한 희생이기 때문에 정의로운 과거 청산이라는 관점에서 앞으로 피해자에 대한 국가의 배상과 보상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민간인 학살에 대한 책임자 진상 규명과 처벌에 대한 접근도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와 함께 그동안 예산 부족 등으로 중단된 유해 발굴 및 유해 발굴 희생자 유전자 감식, 4.3으로 인한 정신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치료를 위한 트라우마 치유센터 건립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 차기 정부와 여야는 4.3의 진상을 밝히고, 명예를 회복하며 남은 여러 과제를 해결하는데 결코 주저하지 말아야 한다. 또한 반드시 2018년 '제70주년 4.3 희생자 추념식'에는 새로운 대통령이 참석해 제주 4·3의 완전한 해결을 위한 입장을 대내외에 천명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어 "민주당은 4.3 희생자 유족과 제주도민의 억울한 한을 풀기 위해 완전한 4.3 해결에 앞장설 것이며, 평화와 인권 그리고 화해와 상생의 시대를 여는 데 매진할 것을 약속한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 4·3 사건은 지난 1948년 4월3일부터 1954년 9월21일까지 제주도에서 일어난 도민 학살 사건으로, 제주도민이 3만명에서 최대 8만명 가까이 희생된 대참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