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임한별 기자
/사진=임한별 기자

교육부가 다음해부터 '미세먼지 연구학교'를 운영한다. 교육부는 오늘(27일) 이 같은 내용의 '학교 고농도 미세먼지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17일 발표한 미세먼지 '나쁨' 단계(미세먼지 농도(PM10) 81㎍/㎥이상 , 초미세먼지(PM2.5) 51㎍/㎥이상) 시 야외 수업 자제 권고에 이은 두 번째 학교 현장 대응 강화 조치다.


교육부는 미세먼지 연구학교와 미세먼지 선도학교를 선정해 미세먼지 대응 모범 사례를 개발하고 확산할 방침이다. 미세먼지 연구학교 등은 다음해부터 운영된다.

다음달부터는 교직원 안전 동아리 운영을 권장해 미세먼지 대응 프로그램과 실천 사례를 발굴한다. 올해 말에는 시·도교육청이나 학교에서 추진한 미세먼지 대응 우수 사례 등을 공유한다.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을 개선·강화하기 위한 학교 구성원들의 교육과 연수도 늘린다. 교직원을 대상으로는 안전 관련 집합 교육을 수시로 실시하고, 직무연수 시 미세먼지 피해 최소화를 위한 학생 안전조치 교육도 제공한다. 학생을 대상으로는 재난안전교육 혹은 5분 안전교육 시간, 창의적체험활동 시간 등을 활용해 미세먼지의 위험성과 대응책을 가르친다.


미세먼지 발생 공유 방법도 다양화한다. 미세먼지 단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예보깃발 설치를 추진한다. 전광판이 마련된 학교에서는 실시간으로 미세먼지 발생 상황을 알릴 계획인다.

실외수업 대체 수단도 마련한다. 특히 체육관이 없는 학교에는 적극적으로 간이체육실 설치를 추진한다. 학생 수 감소에 따라 유휴교실이 늘고 있어 이를 간이체육실로 활용하면 된다는 것이 교육부의 설명이다.


마땅한 실외수업 대체 수단이 없는 경우에는 교육과정을 탄력적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단원이나 수업 교과 순서를 조정하는 식이다.

현장체험학습 시 매뉴얼도 마련했다. 미세먼지 예보가 있거나 당일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한 경우에는 박물관, 전시관 견학으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대체하거나 야외에 머무는 시간을 최소화하기로 했다.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미세먼지 발생에 슬기롭게 대응하고 안전한 학교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 시도교육청 학교 모두가 적극적으로 협조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