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도 임시운행 허가… 자율주행차 개발주체 다변화 가속
최윤신 기자
2,154
공유하기
![]() |
삼성전자가 기존 차량을 개량해 만든 자율주행차 시험차량.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이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를 받았다. 기존 완성차와 대학 위주이던 자율주행차 연구 주체가 다변화 되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삼성전자가 신청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임시운행을 허가했다고 2일 밝혔다.
삼성전자의 자율주행차 임시운행 허가는 지난해 2월 제도 도입 이래 19번째, 올해 들어 8번째 허가 사례다. 전자업계에서 자율주행자동차 임시운행 허가를 받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3월 현대자동차가 최초 허가를 받은 이후 서울대학교, 한양대학교, 기아자동차, 현대모비스, 교통안전공단, 한국과학기술원(KAIST), 만도 등이 허가를 받았다. 최근에는 IT기업인 네이버랩스가 허가를 받으며 주목받기도 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자율주행자동차에 관한 연구는 자동차 업계와 관련 대학뿐만 아니라 정보통신(IT)・전자업계 등이 참여하며 개발 주체가 다변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의 자율주행자동차는 기존의 국산차를 개조해 라이다(LIDAR), 레이더(RADAR), 카메라 등 다양한 감지기(센서)를 장착하고 있으며 도로 환경과 장애물 인식 등에 스스로 심층학습을 통해 추론하는 인공지능(딥 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삼성전자는 향후 자율주행자동차를 활용하여 악천후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자율주행 알고리즘과, 인공지능․딥 러닝이 결합된 차세대 센서와 컴퓨터 모듈 등 지능형 부품을 개발할 계획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자율주행자동차는 자동차․인공지능․정보통신 등 첨단 기술의 복합체로, 다양한 분야의 협력이 요구된다”며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여러 업체와 대학 간 연계・협력을 유도하고 제도개선 및 지원강화에 힘쓸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지난 3월, 임시운행 허가 관련 규정을 개정해 운전대와 페달 등이 없는 다양한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이 가능하도록 하고, 의무 탑승 인원도 2명에서 1명으로 줄이는 등 지속적인 규제 완화를 통해 민간의 자유로운 기술 개발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한 실제 도로환경을 구현하여 안전하게 반복 실험이 가능한 자율주행자동차 실험도시 ‘케이-시티(K-City)’도 차질 없이 구축 중으로, 올해 하반기 중 고속주행로를 우선 개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