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주택종합 전월세전환율 6.4%… 수도권 5.9%·지방 7.6%
김창성 기자
1,629
공유하기
![]() |
주택유형별 전월세전환율과 금리 추이(단위: %). /자료=한국감정원 |
전월세전환율은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로서 이 비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전세에 비해 월세 부담이 높다는 뜻이고 낮으면 반대 의미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4.6%, 연립다세대주택 6.6%, 단독주택 8.3% 순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수도권 5.9%, 지방 7.6%로 나타났다.
지난 3월 기준 전월세전환율은 저금리 기조로 인한 임대인의 월세 선호로 월세공급이 증가하며 전반적인 월세가격은 하락세이나 봄 이사철 및 준전세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12월 이후 4개월 연속 동일한 전환율을 보였다.
주택종합 전월세전환율을 시도별로 살펴보면 세종이 4.9%로 가장 낮고 경북이 9.5%로 가장 높았다. 충북(8.7%→8.8%), 전북(8.3%→8.4%) 등은 전달 대비 상승했고 제주(5.9%→5.8%), 강원(7.7%→7.6%) 등은 떨어졌다.
주택유형별로 살펴보면 아파트(4.6%→4.6%), 연립다세대(6.6%→6.6%), 단독주택(8.3%→8.3%) 순으로 나타나 전달 대비 아파트, 연립다세대, 단독주택 모두 동일한 전환율을 기록했다.
수도권은 아파트 4.4%, 연립다세대 6.2%, 단독주택 7.4%를 보였고 지방은 아파트 5.3%, 연립다세대 9.4%, 단독주택 9.8%를 기록했다.
아파트를 시도별로 살펴보면 서울은 4.1%로 가장 낮고, 전남이 7%로 가장 높았다. 대전(5.1%→5.2%), 경북(5.6%→5.7%) 등은 전달 대비 올랐고 강원(6.9%→6.6%), 제주(5.0%→4.8%) 등은 하락했다.
서울만 따로 놓고 살펴보면 4.1%를 기록하며 전달 대비 0.1%p 하락한 가운데 권역별로는 강북권역(4.3%→4.3%)과 강남권역(4.0%→4.0%)은 동일했다.
각 자치구별로는 송파가 3.6%로 가장 낮고, 종로가 5.0%로 가장 높으며 양천(3.8%→3.9%) 은 전달 대비 올랐다. 중구(4.2%→4.2%)는 보합, 종로(5.3%→5.0%), 은평(4.5%→4.3%) 등은 떨어졌다.
아파트 규모별로는 소형은 5.1%, 중소형은 4.3%로 소형의 전월세전환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지방의 소형아파트 전월세 전환율은 6%로 지역별․규모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립다세대는 서울이 5.2%로 가장 낮고 전남이 10.4%로 가장 높았으며 전북(8.0%→10.3%), 경북(8.0%→9.0%) 등은 전달 대비 상승했다. 반면 충북(11.0%→10.0%), 전남(10.9%→10.4%) 등은 떨어졌다.
단독주택은 제주가 6.8%로 가장 낮고, 경북이 11.5%로 가장 높으며, 충북(11.3%→11.4%) 등은 전달 대비 올랐지만 전남(11.3%→11.0%), 제주(7.1%→6.8%) 등은 하락했다.
연립다세대 및 단독주택을 서울 생활권별로 살펴보면 연립다세대는 강북권(5.7%→5.7%), 강남권(4.9%→4.9%) 모두 전월과 동일했다. 단독주택의 경우 강북권(7.0%→7.1%)은 0.1%p 상승, 강남권(6.9%→6.8%)은 0.1%p 하락했다.
연립다세대 및 단독주택을 규모별로 살펴보면 전용면적 30㎡ 이하 소규모 주택의 전월세전환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전환율이 가장 낮은 60㎡ 초과와의 격차는 연립다세대 2.4%p, 단독주택 4.2%p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