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출범, 정체된 국토교통정책 시동 건다
김창성 기자
4,866
공유하기
![]() |
문재인 대통령. /사진=뉴스1 DB |
11일 업계와 정부 등에 따르면 그동안 국토교통정책 등은 상반기 정국이 장미대선에 집중되면서 정체기를 겪었다.
하지만 지난 10일 문 대통령이 임기를 시작하면서 주춤했던 국토교통정책 시행도 속도를 낼 전망이다.
우선 주택토지분야는 이달 말 주택임대차분쟁조정위원회 운영으로 세입자 불만사항을 해소할 예정이다.
문재인 정부의 공약에 따라 지속 가능성이 높아진 기업형 임대주택(뉴스테이)의 경우 하반기 중 리츠 대국민 공모를 실시해 정책 활용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달러 약세와 유가 감산정책으로 호황이 예상되는 해외건설분야는 이달 해외건설 지원기구 입법화 추진으로 다음달부터 본격 운영될 가능성이 커졌다.
교통물류분야에선 출퇴근형 M버스가 다음달 도입될 예정이다. 신설될 출퇴근형 M버스 노선은 최초로 도입하는 송도-여의도와 송도-잠실역 등 2개 노선이다.
출퇴근형 M-버스는 출퇴근 시간대에는 M-버스 형태로 운행하고 그 외 시간은 다른 운송사업에 투입돼 차량 및 운전자 등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방안이다.
항공기 퍼스트클래스나 비즈니스클래스만큼 좌석이 편안하고 편리한 프리미엄 고속버스도 6월경 본격 도입될 전망이다.
지난해 11월부터 운행한 프리미엄 버스는 현재 서울-부산 구간 12대, 서울-광주 구간 15대가 투입돼 하루 20회씩 운행 중이다.
이밖에 철도분야에서는 하반기 중 시간대별 철도할인제도와 서울-부산 간 무정차 프리미엄 열차 도입도 시행될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