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5일 30년 이상된 노후 석탄발전소의 일시 가동 중단을 지시한 가운데 전력수급과 전기요금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이날 10기의 노후 석탄발전소 중 8기를 6월 한달간 일시적으로 가동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나머지 2기는 전남 여수에 위치한 석탄발전소로 전력수급비용 문제 등을 이유로 이번 가동중단에서 제외됐으나 노후 석탄발전소 전력비수기(3~6월) 가동 중단은 내년부터 정례화될 예정이다.

일단은 임시 가동 중단이지만 문재인 정부가 화석연료를 미세먼지 주범으로 지목한 만큼 장기적으로 전력시장에도 상당한 변화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임기 내 노후 석탄발전소를 모두 폐쇄하겠다고 공약했다.


노후 석탄화력 가동 중단…전력수급·가격 영향은?
정부가 가동 중단을 결정한 노후 석탄발전소의 설비용량 비중은 전체 석탄 화력발전소의 10.6% 수준이다. 이에 따라 전력비수기의 가동 중단으로 전력수급에는 별다른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전기요금 인상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 발전소 종류별 전력거래량은 유연탄(39.2%), 원자력(30.2%), LNG(22%) 순으로 원료비 단가는 원전이 KWh당 5.70원으로 가장 저렴하고 유연탄(50.22원), LNG(79.25원) 순으로 높다.

문 대통령은 에너지 관련 공약으로 ‘깨끗한 에너지, 탈원전 친환경 대체에너지’를 내세우며 원전과 석탄·화력 비중을 줄이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와 천연가스 발전 비중이 앞으로 점점 높아질 것으로 전망이다.


전력업계에서는 원료비가 비싸다는 이유로 후순위로 밀렸던 LNG 발전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싼 LNG 비중이 커지면 전기요금도 올라갈 수밖에 없다.

민간발전협의회에 따르면 석탄화력 20%를 LNG발전소로 전환할 경우 2018년에는 약 2조3100억원, 2022년에는 4조300억원 수준의 비용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당장은 전력수급이나 비용에 별다른 없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노후 석탄발전소가 폐쇄되면 전기요금 인상은 불가피할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