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구대 암각화. 사진은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전경. /자료사진=뉴스1(문화재청 제공)
반구대 암각화. 사진은 울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전경. /자료사진=뉴스1(문화재청 제공)

반구대 암각화 보존 대책으로 울산시가 제출한 '생태 제방 축조방안'을 보류했다고 문화재청이 밝혔다. 문화재위원회는 지난 18일 회의를 열어 국보 제285호 '반구대 암각화' 생태 제방 축조방안을 심의해 '보류' 결정을 내렸다고 밝혔다.

반구대 암각화는 높이 4m, 너비 10m의 ‘ㄱ’자 모양으로 꺾인 절벽암반에 여러 가지 모양을 새긴 바위 그림이다.

1965년 태화강 지류인 대곡천에 만들어진 사연댐으로 인해 반구대 암각화는 해마다 침수와 노출이 반복되고 있어 문화재청은 2013년부터 반구대 암각화 보존 대책으로 '가변형 임시 물막이'(카이네틱 댐) 설치를 3년간 추진했으나 기술적 결함으로 인해 지난해 실패로 결론난 바 있다.


이에 울산시가 대안으로 제출한 생태제방 축조안은 암각화에서 30m 떨어진 지점에 길이 357m의 기다란 둑을 쌓는 것인데 제방을 쌓으려면 바닥은 시멘트와 같은 충전재를 강제로 주입해 다지고, 암각화 반대편은 땅을 파서 새로운 물길을 조성해야만 한다.

그러나 반구대 암각화 주변 경관을 해치고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에도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우려가 전문가들 사이에서 제기됐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문화재위원들이 최근 대거 교체된 만큼 다시 일정을 잡아 면밀한 현장 조사를 한 뒤, 생태 제방 축조 방안을 재심의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울산 반구대 포럼은 지난 17일 성명서를 내고 "반구대암각화 보존, 세계문화유산등재 등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구하고 관련 분과 문화재위원들이 합동으로 시간을 두고 심의하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반구대암각화 보존대책과 관련해 국제암각화단체연맹(IFRAO) 등 국제적으로 명망이 있는 전문가들에게 의견을 구하라”며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국민적 여론을 수렴하는 대국민 공청회를 개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