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세종역 물건너가나… 용역결과 “경제성 없다”
최윤신 기자
3,688
공유하기
![]() |
'KTX세종역' 사진은 KTX 오송역 전경. /사진=충청북도 제공 |
KTX 세종역 신설사업의 경제성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확인돼 사업이 사실상 무산될 분위기다.
21일 충북도 등에 따르면 철도시설공단이 한국과기대 등에 의뢰한 '고속철도 선로용량 확충을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에서 세종역 신설의 비용대비 편익(B/C)는 0.59에 그쳤다. 철도건설법상 새 역을 건설하려면 B/C 1 이상을 받아야 한다.
이번 용역 결과 세종역의 사업타당성이 부족하다는 결론이 나오며 더불어민주당 이해찬(세종) 의원과 같은 당 이춘희 세종시장의 세종역 신설 공약이행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세종역 신설은 서울~정부 세종청사 출퇴근을 위한 '공무원 철도'를 건설하는 것에 불과하고 KTX공주역·오송역과의 거리가 각각 22㎞로 짧아 이 구간 고속철을 저속철로 만들 것이라는 비난이 잇따랐다.
특히 도는 오송역·공주역 이용객 감소에 따른 운영비 증가, 오송역 기투자 매몰비용, 오송역·공주역 대기시간 증가 등 세종역 설치에 따른 부작용을 연구용역팀에 적극 개진하면서 B/C 낮추기에 공을 들이기도 했다.
국토교통부와 공단의 세종역 설치 검토가 표면화한 지난해 말부터 충북은 민간 대책기구를 구성, 국토교통부에 연구용역 중단을 요구하는 등 조직적인 반발을 이어왔다.
이번 용역결과에 대해 충북도와 도의회는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도는 "세종역 신설은 사업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밝혀진 이상 앞으로 다시는 세종역 신설에 대한 논란이 일어나지 않길 바란다"며 "충북은 세종시가 완전한 행정수도가 되는 데 힘을 보태고, 세종시는 충북 경제발전과 함께 오송역이 세종시 관문역으로서의 역할을 다 하도록 서로 힘을 보태자"고 제안했다.
도의회는 "세종역 신설이 사업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은 지극히 당연한 결과"라면서 "충북과 세종은 이 결과를 더 상생 협력하라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충청권 발전과 국가경쟁력 제고 방안을 함께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