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교통공사.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교통공사. /사진=서울시 제공

서울교통공사가 31일 서울메트로(1~4호선)와 서울도시철공사(5~8호선)를 통합해 출범한다. 1981년 서울메트로, 1994년 서울도시철공사가 각각 설립돼 분리 운영된 이후 23년 만이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이날 시청에서 설명회를 갖고 "서울교통공사는 노·사·정 합의를 통한 국내 최초의 공기업 통합 혁신 사례"라고 강조했다.

서울교통공사의 규모는 인력 1만5674명, 자본금 21조5000억원으로 국내 1위의 지하철 운영 기관이 된다. 일평균 수송객 680만명, 운영역수 277역, 총연장 300㎞, 보유차량 3571량이다. 일평균 수송객 수준은 뉴욕(565만명)·파리(418만명)보다 많고, 총연장 수준은 파리(214㎞)·홍콩(220㎞)보다 길다.


본사 조직은 안전관리본부를 설치해 1~8호선까지 안전 관리를 일원화했다. 지하철 안전 운행과 전문성 강화를 위해 운영본부는 차량본부와 승무본부로 분리했다. 현장 조직은 기술직종이 함께 근무하는 기술센터 26곳을 설치해 현장 협업을 강화했다. 1~8호선별 안전관리관도 배치해 사고 예방은 물론 유사 시 신속 대응하도록 했다.

통합 이후 본사 중복인력 393명은 역사 등 현업 분야로 재배치했다. 또한 승강장 안전문 보수인력 175명을 증원하고 소방설비·전기 등 안전분야 64명는 위탁계약 종료 시 직영으로 전환한다. 이와 관련 공사는 매년 최소 200명 이상, 2021년까지 총 1987명을 채용한다는 계획이다.


통합으로 재정건전성도 강화됐다. 인건비가 절감되고 중복예산이 조정되면서 연간 295억원, 10년간 총 2949억원을 확보한다. 부채비율이 201%에서 54%로 감소하면서 공사채 발행(부채율 100% 이하)도 가능해졌다. 절감 인건비 55%는 근로자 처우 개선에 투자한다.

윤 본부장은 "통합 공사 출범 이후 기존 양공사 간 화학적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앞으로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면서도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해 노사 간의 소통과 협치로 풀어나가겠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오후 2시 성동구 옛 도시철도공사 본사에서 서울교통공사 출범식이 개최된다. 출범식에는 박원순 서울시장을 비롯해 양준욱 시의회 의장, 유관기관 관계자, 시민 등 총 500여명이 참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