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주택 지어도 주변 집값 안떨어져요"
김노향 기자
5,386
공유하기
임대주택을 지으면 주변 집값이 떨어진다는 선입견 때문에 지역주민의 님비현상은 오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하지만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의 연구 결과 이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LH와 SH공사 연구에 따르면 2015년 말 입주한 삼전·내곡·천왕·강일의 행복주택단지로부터 250m 내 아파트가격은 사업승인 이후 다른 지역에 비해 6.5% 상승했다. 500m 내 아파트가격도 4.3% 상승했다. 또한 재개발임대·국민임대·시프트 등 혼합 임대주택단지의 반경 500m 내 집값은 임대주택 건설 이후 평균 7.3% 상승했다.
다만 임대가구 수가 늘어나면 집값이 하락할 가능성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가구가 100가구 증가할 때마다 집값이 0.7% 정도 떨어졌다. 특히 재개발임대는 245가구 이상, 국민임대는 789가구 이상 입주할 경우 집값 하락의 가능성이 컸다.
주희선 SH공사 연구원은 "2006년 이후 국민임대와 시프트 등이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공급되는 등 규제완화에 따라 주변 집값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서울의 경우 앞으로 임대주택 공급에 따른 주변 집값의 하락 가능성은 미미하다"고 분석했다.
한편 임대주택 주변 주민의 주거만족도 역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SH공사가 삼전·내곡·천왕·강일 행복주택단지가 있는 지역주민 595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66%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지역상권 활성화, 주거환경 개선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했다.
![]() |
/사진=머니투데이 |
LH와 SH공사 연구에 따르면 2015년 말 입주한 삼전·내곡·천왕·강일의 행복주택단지로부터 250m 내 아파트가격은 사업승인 이후 다른 지역에 비해 6.5% 상승했다. 500m 내 아파트가격도 4.3% 상승했다. 또한 재개발임대·국민임대·시프트 등 혼합 임대주택단지의 반경 500m 내 집값은 임대주택 건설 이후 평균 7.3% 상승했다.
다만 임대가구 수가 늘어나면 집값이 하락할 가능성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임대가구가 100가구 증가할 때마다 집값이 0.7% 정도 떨어졌다. 특히 재개발임대는 245가구 이상, 국민임대는 789가구 이상 입주할 경우 집값 하락의 가능성이 컸다.
주희선 SH공사 연구원은 "2006년 이후 국민임대와 시프트 등이 개발제한구역 해제지역에 공급되는 등 규제완화에 따라 주변 집값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서울의 경우 앞으로 임대주택 공급에 따른 주변 집값의 하락 가능성은 미미하다"고 분석했다.
한편 임대주택 주변 주민의 주거만족도 역시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SH공사가 삼전·내곡·천왕·강일 행복주택단지가 있는 지역주민 595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66%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지역상권 활성화, 주거환경 개선 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노향 기자
안녕하세요. 머니S 재테크부 김노향 기자입니다. 투자와 기업에 관련한 많은 제보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