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랜차이즈 컨설팅 전문기업인 '맥세스컨설팅'이 프랜차이즈 정보공개서를 기반으로 한 통계지표를 수치화, 시각화하여 제공하며 필터링을 활용하여 프랜차이즈 산업현황을 보다 다각적으로 분석했다. 이에따른 '2016년 프랜차이즈산업현황 보고서'의 일부내용을 순차적으로 소개한다.


이번 보고서는 2016년 12월 31일까지 정보공개서를 등록한 브랜드 중 기업의 2015년 매출액이 2조원 이상인 브랜드를 제외한 4,097개 기업과 5,044개 브랜드가 기준이다. [편집자주]
강원, 세종, 울산, 전남 순으로 프랜차이즈 불모지 … 육성을 위한 지역 지원 필요해

지난 2015년말 기준으로 지역별 기업 수는 서울이 1,672개로 가장 많았고, 경기(884개)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도권에 본사가 위치한 기업 수가 대다수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을 제외한 지역에서는 대구(275개), 부산(263개)에 연고를 둔 본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수 또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서울, 경기,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의 경우 기업 수(2,736개)보다 브랜드 수(3,470개)가 약 1.3배로 나타나 타 지역과 비교하여 다 브랜드를 운영하는 기업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프랜차이즈 기업이 편중된 현상에 따라 기업 수가 적은 강원, 세종, 울산, 전남 등의 지역에서는 프랜차이즈 육성을 위한 지자체의 정책 지원이 필요한것으로 분석됐다.

또 지역별 직영점 및 가맹점 수는 대다수의 본사가 위치한 서울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 지역 본사에 소속된 매장 수는 약 11만 개로 조사됐다.

서울 지역에 위치한 본사의 규모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서울, 경기, 인천의 수도권 지역 본사에 소속된 평균 매장 수가 전반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밖에 대구, 부산, 충북, 대전 등의 지역에 위치한 본사의 소속 매장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평균 매장 수는 2014년까지 소폭 상승하고 있는 추세였으나, 2015년에는 직영점 2.7개, 가맹점 34.5개로 전년 대비 직영점 약 1.1개, 가맹점 약 9.5개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맥세스컨설팅은 2016년 프랜차이즈산업현황보고서를 홈페이지를 통해 직접 판매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