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이 19일 경기도 이천 SKMS연구소에서 최태원 회장을 비롯해 최재원 수석부회장, 조대식 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 및 7개 위원회 위원장, 16개 주요 관계사 CEO등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017 확대경영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SK CEO들은 지난해 6월 확대경영회의 이후 적극적으로 변화·혁신을 추구해 관계사별로 의미 있는 성과를 거뒀으나 글로벌 메이저 플레이어들과의 격차는 여전하다는 위기의식을 공유하고 각 관계사별 딥체인지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또 SK CEO들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개방형·공유형 경제체제에서는 SK 자체적인 성장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사회와 함께하고 사회를 위해 성장하는 뉴 SK로의 새로운 성장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조대식 의장은 “SK그룹 시가총액은 지난 3년간 연평균 8%의 성장을 이뤄 현재 100조원을 훌쩍 뛰어넘었고 이는 같은 기간 KOSPI 200 지수 상승률인 4%와 비교하면 분명한 성과”라며 “그러나 글로벌 메이저 플레이어가 같은 기간 연평균 30~40%의 성장을 이룬 것과 비교하면 결코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고 말했다.

19일 경기도 이천 SKMS연구소에서 열린 ‘2017 확대경영회의’에서 최태원 회장이 지난해 딥체인지 전략을 선언한 이후 각 관계사 CEO들이 추진해 온 변화와 혁신 성과에 관한 발표 내용을 듣고 있다. /사진=SK
19일 경기도 이천 SKMS연구소에서 열린 ‘2017 확대경영회의’에서 최태원 회장이 지난해 딥체인지 전략을 선언한 이후 각 관계사 CEO들이 추진해 온 변화와 혁신 성과에 관한 발표 내용을 듣고 있다. /사진=SK
이에 따라 SK CEO들은 ▲게임의 룰을 바꾸는 비즈니스 모델의 근본적인 혁신 ▲회사 업(業)의 본질을 다시 규정하는 새로운 포트폴리오 발굴 ▲글로벌 차원의 ‘또 같이’ 성장 방법인 글로벌 파트너링 강화 ▲R&D 및 기술혁신을 통한 핵심역량 확보 등을 해나가기로 했다.

이날 최태원 회장은 각 CEO들의 성과발표 및 리뷰와 관련해 지난해 제시한 ‘변화·혁신을 위한 실행력 제고’와 함께 새로운 측면의 딥체인지를 강조했다. 지금까지의 딥체인지가 SK 각 관계사의 근본적인 변화에 초점을 맞췄다면 앞으로는 ‘사회와 함께’하는 딥체인지 2.0을 주문한 것이다.


최 회장은 “최근 우리 사회가 단기간에 이뤄낸 고도성장 속에서 의도치 않았던 양극화와 같은 사회·경제적 이슈가 발생할 뿐 아니라 심각해지고 있다”며 “앞으로 SK는 대기업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면서 사회문제 해결에 SK CEO와 임직원들이 더욱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독려했다.

그는 이어 “서로 다른 비즈니스 모델과 기술들이 융합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는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자산이 큰 가치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며 “SK가 보유한 유무형의 역량이 SK는 물론 사회와 함께 발전하는 토대가 될 수 있도록 모색하자”고 제안했다.


이항수 SK그룹 PR팀장(전무)은 “최태원 회장과 SK CEO들은 이번 확대경영회의에서 SK그룹이 추구하는 변화·혁신 등 딥체인지의 근본적인 목적은 결국 사회와 함께 하는 것이라는 점을 확인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SK 각 관계사는 이 같은 딥체인지의 방향성을 구체화하고 실천하는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