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현대건설
/사진=현대건설

정부의 부동산대책 발표 이후 3개월 동안 약 11만가구의 입주물량이 쏟아진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0%가량 증가한 수준. 정부규제와 이런 대규모 물량이 맞물려 집값 상승흐름을 막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오는 7~9월 전국적으로 아파트 입주물량이 전년동기대비 37.8% 증가한 10만7217가구에 달한다. 지난해 이후 분기별 입주물량이 10만가구를 넘은 것은 처음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 ▲서울 6833가구 ▲위례신도시 3747가구 ▲화성향남2 1742가구 ▲배곧신도시 3601가구 ▲하남미사 1659가구 ▲광주태전 2372가구 ▲화성동탄2 1077가구 등이다. 지방은 ▲부산정관 1934가구 ▲양산물금 3838가구 ▲대구다사 1457가구 ▲경산중산 1696가구 ▲부산장전 1938가구 ▲부산신항만 2030가구 등이다.

입주물량 증가는 집값 조정뿐 아니라 역전세난을 심화시킬 수 있다. 전세물량까지 많아지면서 집주인들이 새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전셋값이 떨어질 경우 기존 세입자가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려워 소송으로 이어질 위험도 높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최근 '2017년 하반기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입주물량 증가로 전세가가 안정되면서 일부지역은 역전세난을 배제할 수 없다고 전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