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전쟁 67주년. 이낙연 국무총리가 25일 오전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6.25전쟁 67주년 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최동준<br />
 기자
6.25 전쟁 67주년. 이낙연 국무총리가 25일 오전 서울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6.25전쟁 67주년 행사'에서 기념사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최동준
기자
이낙연 국무총리가 6·25 전쟁 발발 67주년 기념사에서 북한의 비핵화와 억류 중인 대한민국과 미국인을 석방하라고 촉구했다.

25일 이 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제67주년 6.25전쟁 기념식'에서 기념사를 통해 “북한은 6.15 공동선언과 10.4 남북정상선언을 존중한다면 핵과 미사일 고도화를 멈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최근 미국인 웜비어씨의 사망사건으로 국제사회가 격분하고 있다”며 “북한은 억류중인 우리 국민과 미국 시민을 지금이라도 석방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이 총리는 자유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친 호국영령과 유엔군 참전용사의 명복을 빌고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에게 감사와 위로의 말을 전했다.


이 총리는 “67년 전 오늘 이 땅에서 시작된 전쟁은 많은 것을 앗아갔다”면서 “그러나 우리는 그 폐허 위에서 다시 일어섰고, 60여년 만에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 됐다. 6.25 전쟁은 민족 최대의 비극이었지만 우리는 비극을 기적으로 바꿔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문재인 정부는 조국을 위해 헌신하신 분들을 귀하게 모시겠다”며 “그 희생에 합당한 예우를 받도록 노력하고 유엔 참전국과의 우호 협력도 강화하겠다. 정성어린 보훈이 강한 안보의 바탕이라는 것을 잊지 않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