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 교사 과반 "수능·내신, 절대평가 전환 찬성"
김나현 기자
6,264
공유하기
![]() |
절대평가. /자료사진=뉴시스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4일 하윤수 회장 취임 1주년을 맞아 기자 간담회를 열고 문재인정부 주요 교육공약에 대한 교원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는 초중고 교사 2077명이 참여했다.
우선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1078명(51.9%)이 '긍정적', 826명(39.8%)이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고교 교육 정상화에 기여한다'(505명·46.8%), '학생들의 입시 부담 완화'(307명·28.5%), '다양하고 내실 있는 교육활동 가능'(216명·20.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변별력 확보 어려움'(401명·48.5%), '변별력 확보를 위해 대학별 새로운 전형방법 도입 우려'(282명·34.1%)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고교 내신을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1143명(55.0%)이 '긍정적', 770명(37.1%)이 '부정적'이라고 응답했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학생들의 학습·입시 부담 완화'(560명·49.0%),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평가 방법'(502명·43.9%)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변별력 확보를 위한 대학별 새로운 전형방법 도입 및 사교육비 증가'(340명·44.2%) '성적 부풀리기 우려'(287명·37.3%) '학교 간 학력차로 고교등급제 우려'(140명·18.2%)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교총은 이와 관련해 "대입 전형을 단순화하고 수능을 절대평가로 하는 등 과도한 점수 경쟁을 지양하고 사교육 부담을 덜어주도록 하는 문재인 대통령의 정책에 공감한다"면서도 "수능에 이어 고교 내신까지 절대평가로 전환할 경우 변별력 확보의 어려움이 새로운 전형 방법 도입으로 이어져 사교육비 증가가 우려되고 성적 부풀리기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수능과 고교 내신 절대평가 전환 외에 고교 학점제 도입, 교장 공모제 확대, 유초중등 교육의 시도 교육청 이양에는 '부정적'이라는 의견이 더 많았다.
'고교 학점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984명(47.4%)이 '부정적', 885명(42.6%)이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고교 학점제는 학생이 교과목을 선택해 수업을 듣는 방식을 일컫는다.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대입에 유리한 교과목 위주로 쏠릴 우려'(43.2%), '다양한 수업을 위한 교과목 및 교사·학교시설 등 부족'(34.8%), '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 학교 간 격차 발생 심화'(13.6%)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이유는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맞춤형 교육 강화'(65.2%), '학생에게 교과 선택권 부여'(17.5%), '학생들의 학습 및 입시 부담 경감'(12.5%)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교장 공모제 확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1352명(65.1%)이 '부정적', 583명(28.1%)이 '긍정적'이라고 응답했고, '유초중등 교육의 시도 교육청 이양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는 1153명(55.5%)이 '부정적', 742명(35.7%)이 '긍정적'이라고 응답했다.
하 회장은 "조기 대선을 맞아 산적한 교육 현안을 해결하고 그 어느 때보다 교육 대통령이 선출돼야 함을 널리 알렸다"며 "현실과 괴리된 교육 정책, 교육 혼란을 가중하는 포퓰리즘 정책의 고리를 확고히 끊고 현장 교육을 바로 세우도록 하겠다"고 다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