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륜경주 장면. /사진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경륜경주 장면. /사진제공=국민체육진흥공단
선수들의 기량이 상향평준화돼 예측 불허의 경주가 펼쳐지고 있다.

특히 올 시즌은 종합득점 산정방식이 변경돼 선수 간 득점 편차가 줄어들었다. 경주결과 4위 선수를 기준으로 순위당 ±2점씩 부여하던 것을 올 시즌부터 ±1점씩 득점을 부여한다. 따라서 2, 3착만 꾸준히 해도 쉽게 승급할 수 있었던 전례를 찾아볼 수 없게 됐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선수들의 기량이 상향평준화돼 강축 일변도로 흘렀던 평일 경주 편성 경향이 바뀌었다.

흔히 경륜은 자리싸움이라고 한다. 좋은 자리를 차지하면 그만큼 우승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다. 자리싸움은 우승 확률이 가장 높은 축이 되는 선수를 중심으로 이뤄진다. 특히 인지도가 높은 강축은 좋은 자리를 차지할 확률이 높다. 하지만 선수 간 득점편차가 줄어들면서 이러한 강축 일변도 흐름이 줄었다. 반면 인지도 벽에 부딪혀 실력을 발휘하지 못했던 복병들이 틈새를 넓히고 있다.


최근 발표된 하반기 등급심사 결과도 이러한 현상을 도드라지게 한다. 하반기 승·강급 총인원은 37명인데 상반기 127명에 비해 크게 줄었다. 즉 등급심사 이후 탈 선발·우수급 기량의 선수들이 확실한 1강을 형성하는 저배당 경주의 비중이 예전보다 현저하게 낮아질 전망이다. 강급된 선수의 인지도에 압도됐던 복병들이 힘을 낼 수 있는 기회가 커진 셈이다.

지난 광명 25회차(6월30일~7월2일) 경주에서도 복병들의 활약이 펼쳐졌다. 대표적인 선수가 선발급 유승우(40·11기·B2)다. 유승우는 지난 25회 1일차 광명 2경주에서 인지도상 1, 2강을 형성한 정관과 강양한을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경주는 초반 정관과 강양한이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불안한 상태로 진행되던 상황에서 타종 이후 유승우가 과감한 선행승부로 승부수를 띄웠다. 또 복병인 조동우가 내선마크로 정관을 밀어내는 이변 전개가 나오면서 고배당이 연출됐다.  


이어진 우수급 6경주에서는 선행선수 황정연(26·21기·A1)이 종합득점 선두로 나선 김지광을 외면하는 의외의 경주형태를 보였다. 또한 우수급 9경주에서는 추입형 강자인 박덕인이 다수의 선행형 선수들 사이에서 고전하며 고배당을 연출했다. 두 경주 모두 힘 좋은 선행선수가 종합득점 선두로 나선 축 선수를 인정하지 않는 이변 흐름에서 나온 결과였다.

평일 경주에서 꿈틀대던 복병들의 활약은 일요경주에서 폭발했다. 광명 1, 2, 3 경주 결과, 1경주에서 이범석·한동윤·정영기가 나란히 1~3위를 차지했다. 2경주와 3경주에서는 김영규·김정훈·박현오가, 정관·박종승·장동민이 각각 나란히 1~3위를 기록하는 등 경주 연속 고배당이 터지는 진풍경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