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환경연대. 지난달 24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열린 여성환경연대 주최 '릴리안 생리대 부작용 사태 관련 일회용 생리대 안전성 조사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머니투데이
여성환경연대. 지난달 24일 서울 중구 환경재단에서 열린 여성환경연대 주최 '릴리안 생리대 부작용 사태 관련 일회용 생리대 안전성 조사 촉구 기자회견'에서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머니투데이

여성환경연대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표한 생리대 유해성 논란과 관련한 검출 실험 자료에 대해 "생리대 사태를 축소하지 말고 부작용 원인을 규명하라"고 요구했다.

여성환경연대는 31일 "식약처가 발표한 보도자료는 최종 분석 자료가 아닌 초기 자료"라며 "생리대 유해성에 대한 규명과 대책 마련의 중요성을 회피하려는 의도로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식약처가 발표한 휘발성 유기화합물 항목만으로는 유해성을 확인할 수도 원인 규명을 할 수도 없다"며 "일회용 생리대 허가 기준 항목에 논란이 되는 생식 독성, 발달 독성, 피부 알레르기 물질, 총 휘발성 유기화합물 등을 포함하라"고 촉구했다.

여성환경연대는 "국민 안전을 책임지는 모든 행정 당국은 사전 예방의 원칙을 바탕으로 화합물질 통합 관리 방안과 근본적인 관리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정부는 제대로 된 생리대 전수조사와 부작용 원인 규명을 위한 역학조사를 해야 한다"며 "여성 건강에 대한 확실한 대책을 마련하고 생활 속 화학물질로부터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중요한 계기로 만들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한편 여성환경연대는 이날부터 여성단체 및 환경단체와 함께 생리대 부작용 원인 규명을 위한 전수조사와 역학조사를 촉구하는 청원 운동에 돌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