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항공 EFB(전자비행정보) 운영으로 안전운항 제고. /사진=제주항공 제공
제주항공 EFB(전자비행정보) 운영으로 안전운항 제고. /사진=제주항공 제공
제주항공이 태블릿 PC를 통한 전자비행정보(EFB) 활용효과를 톡톡히 봤다고 14일 밝혔다. 운항안전성과 운항효율성을 높이면서 조종사의 지상업무를 줄이는 등 1석3조의 효과가 있다는 것.

항공기 조종에 필요한 각종 교범과 운항자료 등의 비행안전문서를 반드시 항공기 조종실에 탑재해야 한다. 기존에는 무게가 많이 나가는 여러 권의 종이책이었지만 이를 전자문서로 전환한 시스템이 전자비행정보(EFB)다.


지난 4월 제주항공은 정부로부터 EFB 시스템 사용을 인가 받은 이후 종이 매뉴얼과 EFB를 병행했다. 무거운 책을 생략함으로써 항공기 무게를 줄이는 데 일정부분 역할을 했고 비행 중에 원하는 최신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야간운항 시에도 가독성이 높아 운항효율성이 개선됐다는 평.

이와 함께 매뉴얼이 개정될 때마다 방대한 양의 문서를 복사하고 기내로 운반하는 등의 단순업무도 사라졌다. 운항승무원들의 지상업무 과정에서 벌어지는 낭비요소가 줄어들었다.


제주항공 관계자는 “EFB 시스템 뿐만 아니라 항공안전과 관련한 다양한 분야에서 대규모 투자를 통해 안전운항을 높이기 위한 전사 차원의 시스템 구축에 집중하고 있다”며 “글로벌 기준에 따른 안전분야에 지속적인 투자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진에어와 에어부산도 지난 4월부터 EFB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아직까지는 종이책과 EFB 중 익숙한 것을 고르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