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CJ엔터테인먼트
/사진제공=CJ엔터테인먼트
청나라가 조선을 침략하며 발발한 병자호란의 47일이 영화 <남한산성>을 통해 스크린에 그려진다. 청의 굴욕적인 제안에 화친과 척화로 나뉘어 첨예하게 대립하던 조선을 담은 동명 소설을 영화화한 <남한산성>은 팽팽한 대립구도에 영화적 상상력을 더했다.

순간의 치욕을 견디고 청과의 화친을 통해 후일을 도모하는 주화파 이조판서 최명길(이병헌 분)과 청에 끝까지 맞서 싸워 대의를 지키고자 하는 척화파 예조판서 김상헌(김윤석 분). 두 신하의 날카로운 논쟁과 갈등은 ‘무엇이 백성을 위한 선택인가’라는 화두를 던지며 깊은 울림과 메시지를 전한다.


극 중 최명길 역을 맡은 이병헌은 명품 연기를 선보인다. 첨예하게 대립하는 상황에서도 차분하고 냉정하게 자신의 신념을 전하며 상대를 설득하는 캐릭터를 탄탄하고 흡인력 있게 연기한다. <추격자>, <도둑들>, <검은 사제들> 등 매 작품마다 폭발력 있는 연기로 관객을 사로잡아온 김윤석은 청과 끝까지 맞서 싸워 대의를 지키고자 하는 김상헌 역을 통해 묵직한 카리스마를 발산한다. <남한산성>에서 첫 정통 사극 연기에 도전한 김윤석은 무엇이 백성을 위한 길인지를 깊게 고민하는 김상헌의 감정선을 섬세하게 표현했다.

또 자타 공인 국내 최정상 제작진으로 꼽히는 김지용 활영감독, 채경선 미술감독과 조상경 의상감독, 조태희 분장감독 등 실력파 스태프가 가세해 생생한 볼거리와 드라마틱한 이야기를 완성했다. 여기에 박해일, 고수, 박희순, 조우진 등 명실상부 대한민국 대표 연기파 배우들이 대거 가세해 깊은 맛을 더했다.


극의 하이라이트인 조선과 청의 전투장면은 남한산성의 성첩도면과 각종 문헌자료를 토대로 제작됐으며 수차례 이뤄진 남한산성 답사로 완성도를 높였다. 군사들이 사용했던 조총과 칼, 활 등도 실제 사이즈로 재현됐으며 군사들의 투구와 갑옷은 당시 전쟁에서 사용했던 모습 그대로 복원했다.

원작소설 <남한산성>의 작가 김훈은 “소설로 말하고자 했던 것이 영상과 극으로 표현돼 많은 관객에게 전달되길 바란다”며 “고립무원, 추위, 봄이오는 희미한 냄새가 어떻게 영상으로 그려질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사진제공=CJ엔터테인먼트
/사진제공=CJ엔터테인먼트
◆시놉시스
1636년 인조 14년 병자호란. 청의 대군이 공격해오자 임금과 조정은 적을 피해 남한산성으로 숨어든다. 청군에 완전히 포위된 가운데 대신들의 의견 또한 첨예하게 맞선다. 인조의 번민은 깊어지고 청의 무리한 요구와 압박은 더욱 거세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