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지역 항공여객 운송서비스, 소비자 불만 '증가세'
김나현 기자
2,771
공유하기
![]() |
제주 제주시 제주국제공항. /사진=뉴시스 |
한국소비자원은 2014년1월~지난 6월 제주지역 항공여객 운송 서비스 관련 1372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불만 상담 추이를 분석한 결과 총 439건이 접수됐고, 특히 지난해에는 전년 대비 24.6% 증가한 142건이 접수됐다고 27일 발표했다.
유형별로는 항공권 구매 취소 시 위약금 과다 요구 및 환불 거부·지연 등 '환불' 관련 사례가 196건(44.6%), 결항·연착 등 '운송 불이행·지연' 87건(19.8%), '위탁 수하물 분실·파손' 29건(6.6%), '계약 변경 및 할인 적용 불만' 22건(5.0%) 등의 순이었다.
이 중 항공사명이 확인 가능한 299건을 분석한 결과 국적별로는 국적항공사가 262건(87.6%)으로 외국적항공사 37건(12.4%)보다 많았으며, 세부적으로는 국적항공사 중 저비용항공사가 209건(79.8%)으로 대형항공사 53건(20.2%)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항공권 구매 시 약관과 예약 내용을 꼼꼼히 확인할 것 ▲출발일 전 스케줄 변동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고 최소 출발 2~3시간 전 공항에 도착할 것 ▲최종 목적지에서 위탁 수하물이 도착하지 않거나 분실·파손된 경우 즉시 공항 내 항공사 직원에게 알릴 것을 당부했다.
이 중 항공사명이 확인 가능한 299건을 분석한 결과 국적별로는 국적항공사가 262건(87.6%)으로 외국적항공사 37건(12.4%)보다 많았으며, 세부적으로는 국적항공사 중 저비용항공사가 209건(79.8%)으로 대형항공사 53건(20.2%) 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소비자 피해 예방을 위해 ▲항공권 구매 시 약관과 예약 내용을 꼼꼼히 확인할 것 ▲출발일 전 스케줄 변동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고 최소 출발 2~3시간 전 공항에 도착할 것 ▲최종 목적지에서 위탁 수하물이 도착하지 않거나 분실·파손된 경우 즉시 공항 내 항공사 직원에게 알릴 것을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