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이 올해 화학사업에서만 두번의 인수합병(M&A)을 성공시키며 사업구조 혁신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은 화학사업 자회사인 SK종합화학을 통해 미국 최대 석유화학기업인 다우(Dow)의 폴리염화비닐리덴(이하 PVDC)사업 인수계약(SPA)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로써 SK종합화학은 에틸렌 아크릴산사업(EAA) 확보에 이어 PVDC사업까지 인수하며 패키징 화학소재 영역의 주요 제품군을 갖춘 종합포장소재 화학사로 한걸음 더 다가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번 계약을 통해 SK종합화학은 다우가 보유한 PVDC사업 일체를 인수한다. PVDC사업 브랜드인 SARAN 상표권과 미국 미시간 소재 생산설비, 관련 제조기술, 지적자산 등 사업 일체가 대상이다.


김형건 SK종합화학 사장은 “차세대 성장주력분야인 고부가 포장재사업과 자동차용 소재를 중심으로 다양한 제품군과 기술력 확보에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R&D, M&A, 합작 등 다양한 방안을 통해 핵심소재와 기술력을 보유해 나가며 향후 해외시장에서의 톱 플레이어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PVDC는 고부가 포장재산업의 핵심분야인 배리어 필름 소재군 중 하나로 수분·산소로부터 내용물의 부패, 변형을 막는 기능이 탁월해 주로 높은 수준의 외부 차단성을 요구하는 냉장·냉동 육가공 포장재의 원료로 쓰인다.


특히 배리어 필름 소재군은 시장 진입장벽이 높고 공급업체가 적은데다 향후 아시아지역 식료품 수요의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돼 시장전망이 밝다.

/사진=SK이노베이션
/사진=SK이노베이션

SK종합화학은 기존 납사-에틸렌-폴리에틸렌으로 이어지는 범용 위주의 석유화학 포트폴리오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자체 기술을 통한 넥슬렌과 같은 고부가 화학 제품군 개발 및 다우로부터 EAA사업 인수 등을 통해 고부가 화학기업으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

이번 인수를 통해 SK종합화학은 넥슬렌, EAA에 이어 PVDC까지 다층 포장재 필름의 고부가 핵심소재들을 확보하게 됐으며 기존에 보유한 기술과의 시너지를 통해 다양한 소재의 포트폴리오를 확보해 고객 접근성을 높이고 기술과 소재가 결합된 고객 맞춤형 제품을 개발하겠다는 목표다.


앞으로도 SK종합화학은 연이은 M&A를 통해 사업구조 혁신을 핵심으로 하는 ‘딥 체인지2.0’ 추진을 가속화하고 추가적인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김준 SK이노베이션 사장은 “화학사업과 배터리사업 중심의 비정유부문 집중 육성을 통해 아프리카 초원에서도 생존·성장할 수 있는 사업구조 혁신방안인 ‘딥 체인지2.0’ 실행을 가속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