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6호기 원전 시민참여 종합토론회 모습. /사진=뉴시스 함형서 기자
신고리 5·6호기 원전 시민참여 종합토론회 모습. /사진=뉴시스 함형서 기자
신고리 원자력발전소 5·6호기의 운명을 가를 시민참여단의 종합토론회가 15일 종료됐다. 이제 5일 앞으로 다가온 최종 발표에 모든 이목이 집중됐다.

15일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에 따르면 충남 천안 교보생명 계성원에 모인 471명의 시민참여단은 2박3일 간의 합숙토론을 진행한 뒤 일정을 마무리했다.


공론화위원회는 오는 20일 오전 8시에 마지막 위원회 회의를 개최한다. 정부는 같은날 오전 10시 최종 권고안 내용을 브리핑으로 국민에게 알린다.

최종 권고안 작성 기준은 이날 진행된 시민참여단의 4차 조사다. 4차 조사에서 건설 중단과 재개 의견 차이가 오차범위를 벗어난 경우 다수의견을 기준으로 권고안이 작성된다.


공론화위원회의 브리핑 내용을 종합해보면 의견차가 6~8%는 나야 유의미한 결론이 나올 전망이다.

신고리 운명 결정의 열쇠를 쥔 시민참여단은 지난 13일부터 이날까지 ▲총론 토의 ▲안전성·환경성 토의 ▲경제성 토의 ▲마무리 토의 등 4개 세션을 진행했다.


총론토의에서 건설 재개 측은 신고리 5·6호기 중단시 2조8000억원의 매몰비용에 추가비용이 발생한다는 점과 원전 수출을 위해서라도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반면 건설 중단 측은 지난 2011일 일본 후쿠시마에서 발생한 원전 사고를 예로 들며 안정성을 내세우면서 ‘신재생에너지’로도 전력 공백을 메울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