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금리가 0.25% 오르면 가계의 이자부담이 2조3000억원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 시중은행 앞에 걸린 대출금리 안내문./사진=뉴시스
대출금리가 0.25% 오르면 가계의 이자부담이 2조3000억원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사진은 서울 시중은행 앞에 걸린 대출금리 안내문./사진=뉴시스

대출금리가 0.25% 오르면 가계대출 이자가 2조3000억원 증가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더욱이 지난 19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해 가계부채 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한국은행의 '가계 소득분위별 이자비용 변동현황'을 통해 대출금리가 0.25% 인상되면 각 소득분위별로 1000억원에서 1조1000억원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전국 2만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벌인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소득 5분위 금융부채 분포를 활용해 금리 상승이 각각의 소득분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다.

카드사와 할부금융사 외상 판매인 판매신용을 제외한 가계대출 총액(3월 기준)은 1286조6000억원으로 이 가운데 72.1%인 927조6000억원이 변동금리에 의한 대출규모로 추정된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 올리고 기준금리 상승분이 전부 대출금리에 반영될 경우 연간 2조3000억원 이자를 부담하는 셈이다.

연평균 소득이 1억1171만원인 소득 5분위의 금융부채 비중은 46.5%로 대출금리가 0.25% 오르면 연간 이자부담은 1조1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연평균 소득이 5953만원인 소득 4분위의 이자부담은 5000억원, 평균소득이 3989만원인 소득 3분위는 4000억원 오른다.


이밖에도 평균소득이 2409만원인 소득 2분위와 평균소득이 890만원인 소득 1분위는 각각 이자부담이 2000억원, 1000억원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이 처분가능소득의 5배를 넘어 가계의 부채상환 문제가 심각할 것으로 전망됐다.

우리나라 가구 평균 처분가능소득은 2012년 3476만원에서 지난해 4022만원으로 5년새 15.7%인 546만원이 늘었다.반면 같은 기간 원리금 상환액은 596만원에서 1071만원으로 79.7%나 올라 소득증가율을 앞질렀다.


30대 가구 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 4238만원으로 2012년 3779만원보다 459만원 증가했지만 대출 원리금 상환액은 644만원에서 1218만원으로 올랐다. 40대도 4322만원에서 4784만원으로 소득이 늘 때 원리금상환액은 826만원에서 1446만원으로 큰폭으로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