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와 LG전자가 미국정부의 한국산 세탁기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 검토 관련 19일 현지에서 열린 공청회에서 “부당한 조치로 결국 피해자는 미국 소비자 될 것”이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존 헤링턴 삼성전자 미국법인 수석부사장은 “(한국산 세탁기) 수입을 막는다면 월풀은 엄청난 시장지배력과 통제력을 갖게 될 것”이라며 “가격은 크게 오르고 소비자들은 선택의 폭이 줄어들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시장 확대로 이익을 얻는 소매업자들에게도 큰 타격이 될 수 있고 사우스캐롤라이나 일자리 창출을 늦출 수도 있다”며 “수입 세탁기에 관세가 부가되면 미국 세탁기산업의 건전한 성장이 멈출 수 있다”고 주장했다.


LG전자는 미국법인의 존 리들 HA영업담당, 존 투히 전략담당, 로펌 변호사 등이 입장을 발표했다. 이들은 “테네시주에 짓고 있는 세탁기 공장이 미국 세탁기산업의 기반을 보다 강화시키기 때문에 LG전자도 미국 내 생산자로 봐야 하며 이에 따라 세이프가드 구제조치는 불필요하다”며 “미국 세탁기 공장에 2019년 1분기까지 2억5000만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공장 완공 후 고용인원은 600명 이상으로 예상된다. 일자리 창출, 세금 납부, 현지 부품 조달 등은 물론 연관 산업 파급 효과들이 이어져 현지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LG전자 세탁기가 지금까지 미국에서 성장해온 것은 미국의 유통과 소비자들이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자사의 세탁기를 선택했기 때문”이라며 “세이프가드가 실제 발효돼 세탁기 수입을 막게 된다면 최종적인 피해는 미국 유통과 소비자가 입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세이프가드로 인해 한국기업의 미국 내 기반이 약해지면 결과적으로 현재 건설 중인 현지 공장의 정상적 가동이 지연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미국 내 일자리 창출 등 현지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기도 하남시의 한 대형마트에 전시된 LG전자 세탁기. /사진=뉴스1
경기도 하남시의 한 대형마트에 전시된 LG전자 세탁기. /사진=뉴스1

이번 공청회에선 한국기업, 정부관계자뿐 아니라 베트남, 대만, 인도네시아 정부 관계자도 세이프가드 조치에 반대하는 입장을 밝혔다.

특히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각각 새 가전공장을 건설하고 있는 사우스캐롤라이나주와 테네시주 관계자 등 현지 관계자들도 양사 투자의 긍정적인 효과를 역설하며 세이프가드 조치에 부정적 의견을 피력했다.

랠프 노먼 사우스캐롤라이나 하원의원은 “삼성전자가 소비자에게 다양한 혁신제품을 제공하는데 불필요한 제한이 생기면 소비자들이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된다”며 “세이프가드 발동으로 삼성전자가 내년에 수요를 충족할 만큼의 세탁기를 수입하지 못하면 앞으로 새 공장에서 만들 모델에 대한 수요에도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이는 소비자의 선택의 폭을 줄일 뿐 아니라 소비자들이 더 높은 가격을 부담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며 “가격이 올라가고 수요가 줄어들면 제조부문 고용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밥 롤프 테네시주 주정부 상공부장관은 공청회에 참석해 세이프가드가 부당하다는 LG전자의 주장을 지지했다.

한편 삼성·LG전자 세탁기에 대한 세이프가드 조치를 요청한 월풀은 공청회에 앞서 삼성·LG전자의 세탁기와 부품에 3년간 48~50%의 고율관세을 부과하고 부품은 수입쿼터(3년 평균 수입량) 추가 부과를 요구했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이날 공청회에서 논의된 내용 등을 바탕으로 오는 21일 구제조치 수준 등을 정한 뒤에 12월4일까지 피해판정, 구제조치권고 등을 담은 보고서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제출한다. 이후 60일 이내로 트럼프 대통령이 승인하면 세이프가드가 발동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