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관악구 강남아파트 재건축 조감도. /사진=서울시
서울 관악구 강남아파트 재건축 조감도. /사진=서울시
지은 지 43년이 경과하고 안전등급 D등급을 받아 재난위험시설로 지정된 서울 관악구 소재 ‘강남아파트’의 재건축이 본격 추진된다.

25일 서울시에 따르면 서울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 인근 ‘강남아파트’는 1974년 준공됐다.

1995년에 조합이 설립됐지만 사업성 부족,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부동산경기 침체 등으로 네 차례나 시공사가 선정되고도 사업을 포기했고 부실한 조합운영으로 각종 소송 등이 난무하며 22년이란 긴 기간 동안 재건축이 표류됐다.


특히 이 아파트는 2001년 재난위험시설로 지정(안전등급 D등급)돼 관리됐다. 건물 곳곳에 균열이 발생하고 설비도 노후화 돼 많은 주민들이 이주하고 아파트 관리도 제대로 되지 않는 실정이어서 거주민들은 더욱 열악한 주거 환경 속에서 살았다.

하지만 더 이상 강남아파트의 안전을 장담할 수 없었던 서울시는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등을 사업 공동사업시행자로 참여시켜 통상 4~5년 걸리는 시공자 선정을 6개월 만에 완료하고 정비사업에 속도를 냈다.


이 과정에서 서울시와 관악구가 각종 인‧허가 등 행정적 부분을, SH가 투명한 조합 운영 유도, 초기 사업비 대여, 뉴스테이 연계형 정비사업 도입 등을 통한 사업비 직접 조달 등을 각각 지원했다.

또 관리처분 이후에는 뉴스테이 연계를 통해 일반분양분을 전량 민간임대주택사업자(도시정비리츠)에게 매각하고 잔여 사업비는 주택도시보증공사(HUG) 보증으로 조달해 시공사의 자금조달과 분양부담을 없앴다.


지난 21일 조합총회에서 선정된 시공사가 제시한 금액은 ㎡당 121만원으로 최근 서울시 재건축 사업장의 평균 공사비 152만원/㎡와 비교하면 저렴하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오랜 기간 난항을 겪은 강남아파트 주택재건축 정비사업은 공공의 사업 참여를 통해 정비사업을 투명하고 신속하게 추진한 대표적 사례가 됐다”며 “앞으로도 민간에서 자체 추진하기 어려운 사업자에 대해서는 공공의 참여를 확대해 시민들의 안전한 주거환경을 보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강남아파트 재건축은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한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재건축을 통해 강남아파트를 지상 35개층, 7개동 1143세대로 재건축할 계획이다. 전용면적별로는 84㎡ 136세대, 59㎡ 839세대, 49㎡ 168세대로 구성된다.

전체 세대 중 조합원 분양분은 총 744세대며 이를 제외한 273세대는 기업형임대사업자인 서울투자운용주식회사에 일괄 매각돼 뉴스테이로 활용된다. 나머지 126세대는 SH가 매입해 임대할 계획이다.

예상 공사비는 총 1782억원이며 내년 상반기 관리처분인가 및 하반기 착공 뒤 34개월의 공사기간을 거쳐 2021년 하반기 입주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