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30대 대기업, 2년새 사내유보금·토지 155조 늘고 투자는 12조 감소
허주열 기자
3,883
공유하기
최근 국내 30대 대기업이 보유한 사내유보금과 토지보유액은 급증한 반면 국내투자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대 대기업의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회계연도 기준 사내유보율이 평균 8682%로 집계됐다. 2014년 4484%였던 사내유보율이 2년새 100%가량 증가한 것이다.
사내유보금은 기업의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의 합계를 의미한다. 유보율은 이를 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이다.
특히 삼성물산의 사내유보율은 8만2057%로 타 대기업들을 압도했다. 이어 SK텔레콤(4만2270%), 삼성화재(3만2069%), 삼성전자(2만2004%), 동부화재(1만219%) 등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30대 대기업의 사내유보금 총액은 652조3812억원으로 2014년(501조8017억원)보다 150조5795억원 늘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가 197조4902억원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현대자동차(68조5640억원), 포스코(42조5715억원), 현대모비스(28조9258억원), 기아자동차(25조264억원) 순으로 조사됐다.
이들 대기업이 보유한 토지 장부가액은 총 79조8021억원으로 2014년(74조8982억원)에 비해 5조39억원 늘었다.
삼성동 한국전력공사 부지를 사들인 현대자동차가 11조7879억원으로 가장 많은 토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어 롯데쇼핑(8조431억원), 삼성전자(7조8696억원), 현대중공업(6조8727억원), 기아자동차(4조9125억원) 순으로 보유토지가 많았다.
반면 투자는 줄었다. 지난해 30대 기업의 투자액은 415조8963억원으로 2014년(428조6402억원)에 비해 12조7440억원 감소했다.
박 의원은 “대기업들은 고용과 투자에 힘쓸 여력이 충분하다”며 “협력 중소기업과 이익을 공유하는 등 상생노력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2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0대 대기업의 연결재무제표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회계연도 기준 사내유보율이 평균 8682%로 집계됐다. 2014년 4484%였던 사내유보율이 2년새 100%가량 증가한 것이다.
사내유보금은 기업의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의 합계를 의미한다. 유보율은 이를 자본금으로 나눈 비율이다.
특히 삼성물산의 사내유보율은 8만2057%로 타 대기업들을 압도했다. 이어 SK텔레콤(4만2270%), 삼성화재(3만2069%), 삼성전자(2만2004%), 동부화재(1만219%) 등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 |
/표=박광온 의원실 |
30대 대기업의 사내유보금 총액은 652조3812억원으로 2014년(501조8017억원)보다 150조5795억원 늘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가 197조4902억원으로 압도적 1위를 차지했다. 이어 현대자동차(68조5640억원), 포스코(42조5715억원), 현대모비스(28조9258억원), 기아자동차(25조264억원) 순으로 조사됐다.
이들 대기업이 보유한 토지 장부가액은 총 79조8021억원으로 2014년(74조8982억원)에 비해 5조39억원 늘었다.
삼성동 한국전력공사 부지를 사들인 현대자동차가 11조7879억원으로 가장 많은 토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어 롯데쇼핑(8조431억원), 삼성전자(7조8696억원), 현대중공업(6조8727억원), 기아자동차(4조9125억원) 순으로 보유토지가 많았다.
반면 투자는 줄었다. 지난해 30대 기업의 투자액은 415조8963억원으로 2014년(428조6402억원)에 비해 12조7440억원 감소했다.
박 의원은 “대기업들은 고용과 투자에 힘쓸 여력이 충분하다”며 “협력 중소기업과 이익을 공유하는 등 상생노력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