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태일 열사 47주기 사회적 선언… "1000만 비정규직에 노동조합을"
장영락 기자
1,331
공유하기
![]() |
전태일 열사 47주기를 맞은 13일 모든 노동자의 노동권 보장을 촉구하는 '1113인 사회적 선언'이 전태일 동상 앞에서 열렸다. /사진=뉴시스 |
13일 전태일 열사 47주기를 맞아 ‘전태일에게 노동조합을’ 사회적 선언이 이뤄졌다. 1113인이 참여한 이번 선언은 이날 오전 전태일 다리 전태일 동상 앞에서 ‘노조하기 좋은 세상 운동본부’ 주최로 열렸다.
운동본부는 ‘모든 노동자에게 노조 할 권리를 보장하라’는 사회적 요구 실현을 위해 전국 100여개 단체로 구성된 조직이다. 이날 선언에는 교수, 문화예술계, 법조계, 시민사회, 노동사회, 민중단체, 진보정당, 종교계, 학생, 노동계 등 각계각층 인사들이 참여했다. 1113인 선언은 11월 13일을 기념하는 의미로, 실제 선언에는 1878명이 참여했다.
이들은 “47년이 지났지만 전태일은 여전히 우리 곁에서 권리와 희망이 없는 노동을 강요당하고 있는 청년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 노동조합이 없는 천팔백만 미조직 노동자들”이라며, 사회적 선언의 배경을 설명했다.
선언문에서 이들은 “47년 전 오늘, 바로 이곳에서 전태일 열사는 분신으로 항거하며 산화했다. 열사의 마지막 외침은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였다. 2017년 11월 13일, 오늘 우리는 묻는다. 노동법은 모든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보호하고, 지켜지고 있는가. 노동자는 기계와 소모품이 아니라 노동의 가치와 인간으로서 존엄을 존중받고 있는가”라고 되물으며 선언 의미를 되새겼다.
이어 “1000만 비정규직이 다시 전태일이 되어 ‘헬조선’의 노동하는 신민으로 살아가는 세상이다.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는 ‘노동기본권을 보장하라’는 외침으로 바뀌었을 뿐이고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는 ‘인간답게 살고 싶다’는 절규로 되풀이 되고 있다”며, 현 노동 현실을 강하게 비판했다.
이들은 “‘전태일에게 노동조합을’, 노동자의 권리와 인간의 존엄을 찾기 위한 사회적 선언이고 실천이다. 오늘 우리는 모든 전태일과 함께 저임금, 무권리, 비정규직, 그리고 성차별이 숙명이 아님을 선언한다”며 모든 노동자에게 노조할 권리를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