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요부동산] 경전철 개통 지역이 뜬다
김창성 기자
5,755
공유하기
![]() |
우이-신설 경전철 솔밭공원역 인근의 우이동 푸르지오 아파트. /사진=김창성 기자 |
분양시장에서 교통편의성은 강조해도 지나침 없는 호재 중의 호재다. 교통이 편리하면 직장인의 출퇴근과 자녀의 등하교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는 자연스레 분양 흥행으로 귀결되고 추가 집값 상승 여력은 덤이다. 그동안 분양시장에서 이 같은 교통 호재는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 등에 국한됐지만 최근에는 경전철 개통 호재가 새롭게 분양시장에 가세해 주목받는다.
◆우이-신설·용인 등 곳곳에 들어선 경전철
최근 분양시장에 새롭게 부각된 교통 호재인 경전철은 지하철과 버스의 단점을 보완한 대중교통으로 평가받는다.
경전철은 도심의 15~20㎞ 구간을 운행하며 수송능력이 우수하고 소음이 적은 것이 특징이다.
또 지하철에 비해 건설비용이 저렴한 데다 무인 운행으로 인건비 절감을 기대할 수 있어 이미 경전철을 도입해 운영 중이거나 앞으로 도입을 추진하는 지자체도 많다.
지난 9월 개통된 서울 우이-신설 경전철은 대표적인 경전철 개통 호재로 주목된다. 우이-신설 경전철 노선 인근 아파트값이 상승세를 타고 있어서다. 우이-신설 경전철 개통 효과가 나타나자 분양시장의 실수요자와 투자자 사이에서는 경전철 개통 효과도 아파트 선택의 주요 기준 중 하나로 꼽힌다.
현재 전국에서 운행 중인 대표적인 경전철은 서울의 ‘우이-신설 경전철’을 비롯해 경기 용인 경전철인 ‘에버라인’, ‘의정부 경전철’, 경남의 ‘김해-부산 경전철’ 등 4개 노선이다.
여기에 ▲서울 신림선·동북선·서부선·위례-신사선 ▲경기 김포 경전철 ▲경남 양산 경전철 등 다양한 노선이 추가 개통 예정이거나 개발 관련 절차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져 일대 분양시장과 부동산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
![]() |
우이-신설 경전철 정릉역 인근의 정릉 힐스테이트 1차 아파트. /사진=김창성 기자 |
경전철 개통 효과는 인근 아파트값과 분양시장에 호재로 작용한다. 지난 9월 개통된 우이-신설 경전철 노선 인근 아파트값이 대표적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솔밭공원역 인근의 우이동 푸르지오 전용면적 84㎡는 올 6월 4억원대 초반의 시세를 유지했지만 9월 들어 4억6000만원에 매매가 성사됐다.
솔샘역 인근의 SK북한산시티 84㎡의 경우 올 6월에는 4억원 미만의 거래가 있었지만 9월들어 최고 4억4000만원에 거래되는 등 4억원 미만 거래는 1건도 없었다.
정릉역 인근의 정릉 힐스테이트 1차 84㎡ 매매가 역시 올 6월까지만 해도 4억5000만원 안팎이었지만 우이-신설 경전철이 개통된 9월 들어서는 최고 5억원까지 몸값이 뛰었다.
2011년 9월 개통된 김해-부산 경전철 인근 아파트도 호재를 톡톡히 누리는 모습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정보 시스템에 따르면 김해-부산 경전철 지내역 인근의 지내 동원 1차 84.93㎡는 경전철 개통 전인 2010년 10월 1억5200만원에 거래됐지만 경전철 개통 후인 2011년 10월에는 1억9000만원선에서 매매가 이뤄지며 경전철 개통 효과를 톡톡히 누렸다.
우이-신설 경전철 솔샘역 인근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사실 경전철 인근 아파트는 사업 추진 초기와 사업 추진이 최종 확정됐을 때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뛰었고 그 이후에는 별다른 변동이 없었다”며 “하지만 최근 경전철이 개통돼 도심 접근성 개선을 직접 체험하자 문의가 늘고 집값도 상승 탄력을 받는 모습”이라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김창성 기자
머니S 김창성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