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직후 논술전형, 이건 꼭 확인하세요
강인귀 기자
2,688
공유하기
수능 1주일 연기 결정에 따라, 대학별고사 일정도 순차적으로 변경되었다. 당초 11월 18일(토)부터 시작할 예정이었던 논술 및 면접고사도 수능과 마찬가지로 1주일 연기되어 11월 25일(토)부터 진행하게 된다.
수능 직후 주말인 25일(토), 26일(일)은 수도권 14개 대학의 논술 전형이 동시에 진행된다. 가톨릭대 의예과와 숭실대, 연세대, 한국항공대는 11월 25일(토)에, 덕성여대, 동국대, 한국산업기술대는 11월 26일(일), 서강대, 성균관대, 세종대, 숙명여대 등은 25일과 26일 양일에 걸쳐 논술고사를 치른다.
수능 시험을 치르고 1~2일의 시간밖에 없을뿐더러, 이들 대학 논술 지원자 수만 약 26만 명으로 고사 당일 자칫 혼란스러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짧은 기간 당황하지 않고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예상 시나리오를 미리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수능 당일 저녁 - 가채점으로 수능 최저 기준 통과 여부 확인
23일(목) 수능 시험을 치른 후에는 빠르게 가채점을 할 수 있도록 하자. 수시 수능 최저 기준 통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정시에 지원 가능한 대학 범위를 확인해 논술 고사 응시 여부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수능 최저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또는 정시에 더 상위 대학에 지원하기 위해 논술 고사 응시를 포기하는 경우도 많아, 수능 후 논술 고사 응시율은 50~70% 정도로 나타난다.
◆논술 고사 직전일 - 예상 답안 직접 작성 해보기
논술 고사 응시 여부가 결정되면, 그 동안 공부해 왔던 내용들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자.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내용을 공부하기보다는 그 동안 공부했던 내용들을 하나씩 정리하며, 수능 공부로 잠시 미뤄두었던, 논술에 대한 감각을 찾는 데 활용하자.
더불어 기출문제나 대학 모의논술 문제를 놓고 실제 답안 작성을 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이 때, 대학 고사 시간과 동일한 시간과 동일한 답안지 양식을 활용해 실전 환경을 미리 연습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답안 작성이 완료되면, 대학에서 제시한 모범답안이나 논술 해설 영상을 통해 본인이 놓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자.
◆고사 당일 - 최소 1시간 전에 고사장 도착
논술 고사 당일은 여러 대학이 동시에 시험을 진행 할뿐만 아니라, 대학별 응시 인원도 많아 평소보다 이동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공지한 입실 시간 이후에는 시험 응시가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에, 최소 1시간 전에 고사장에 도착할 수 있도록 시간 여유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에 따라 고사장이 여러 곳이거나, 고사장 위치가 학교 내 건물이 아닌 곳에서 시험을 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본인의 고사장 위치까지 사전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성균관대 자연계 논술은 학과에 따라 서울캠퍼스와 수원캠퍼스로 나누어 진행된다.
이와 관련해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수석연구원은 “수능 연기와 함께 대학별 논술 일정도 그대로 1주일씩 미뤄졌기 때문에, 일정에 대한 혼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단, 고사시간은 동일하지만 고사장소는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대학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확인해, 고사 당일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능 직후 주말인 25일(토), 26일(일)은 수도권 14개 대학의 논술 전형이 동시에 진행된다. 가톨릭대 의예과와 숭실대, 연세대, 한국항공대는 11월 25일(토)에, 덕성여대, 동국대, 한국산업기술대는 11월 26일(일), 서강대, 성균관대, 세종대, 숙명여대 등은 25일과 26일 양일에 걸쳐 논술고사를 치른다.
수능 시험을 치르고 1~2일의 시간밖에 없을뿐더러, 이들 대학 논술 지원자 수만 약 26만 명으로 고사 당일 자칫 혼란스러운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 짧은 기간 당황하지 않고 시험에 대비할 수 있도록 예상 시나리오를 미리 생각해 보는 것이 좋다.
![]() |
/사진=이미지투데이 |
23일(목) 수능 시험을 치른 후에는 빠르게 가채점을 할 수 있도록 하자. 수시 수능 최저 기준 통과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물론, 정시에 지원 가능한 대학 범위를 확인해 논술 고사 응시 여부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 수능 최저 기준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또는 정시에 더 상위 대학에 지원하기 위해 논술 고사 응시를 포기하는 경우도 많아, 수능 후 논술 고사 응시율은 50~70% 정도로 나타난다.
◆논술 고사 직전일 - 예상 답안 직접 작성 해보기
논술 고사 응시 여부가 결정되면, 그 동안 공부해 왔던 내용들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자.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기 때문에, 새로운 내용을 공부하기보다는 그 동안 공부했던 내용들을 하나씩 정리하며, 수능 공부로 잠시 미뤄두었던, 논술에 대한 감각을 찾는 데 활용하자.
더불어 기출문제나 대학 모의논술 문제를 놓고 실제 답안 작성을 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이 때, 대학 고사 시간과 동일한 시간과 동일한 답안지 양식을 활용해 실전 환경을 미리 연습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답안 작성이 완료되면, 대학에서 제시한 모범답안이나 논술 해설 영상을 통해 본인이 놓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자.
◆고사 당일 - 최소 1시간 전에 고사장 도착
논술 고사 당일은 여러 대학이 동시에 시험을 진행 할뿐만 아니라, 대학별 응시 인원도 많아 평소보다 이동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공지한 입실 시간 이후에는 시험 응시가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에, 최소 1시간 전에 고사장에 도착할 수 있도록 시간 여유를 두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에 따라 고사장이 여러 곳이거나, 고사장 위치가 학교 내 건물이 아닌 곳에서 시험을 보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본인의 고사장 위치까지 사전에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성균관대 자연계 논술은 학과에 따라 서울캠퍼스와 수원캠퍼스로 나누어 진행된다.
이와 관련해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우연철 수석연구원은 “수능 연기와 함께 대학별 논술 일정도 그대로 1주일씩 미뤄졌기 때문에, 일정에 대한 혼란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단, 고사시간은 동일하지만 고사장소는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대학 홈페이지의 공지사항을 확인해, 고사 당일 불이익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