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이 김병찬 서울 용산경찰서장 사무실 등에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실시한 23일 오후 용산경찰서에 직원들이 드나들고 있다. /사진=뉴시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이 김병찬 서울 용산경찰서장 사무실 등에 수사관을 보내 압수수색을 실시한 23일 오후 용산경찰서에 직원들이 드나들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병찬 서울용산경찰서 서장이 ‘국정원 댓글 은폐’ 의혹 관련 검찰 소환에 불응했다.

서울중앙지검 국정원 수사팀은 김 서장에게 25일 오전 11시까지 피의자 신분으로 검찰에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통보했으나 김 서장은 소환조사에 응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달했다.


검찰은 경찰의 2012년 국정원 직원 댓글 공작 사건 축소·은폐 의혹을 수사 중이다. 김 서장은 당시 정치공작을 벌인 것으로 의심되는 국정원 직원의 노트북 등에 대한 디지털 분석 업무를 담당했다.

그는 서울지방경찰청 수사 2계장 신분으로 국정원 직원과 45회 차례 연락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정원과 경찰을 잇는 가교역할을 했다는 의심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 검찰은 전날 용산경찰서 서장실 및 김 서장의 주거지 등을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들을 확보했다.

검찰은 다시 소환조사 일정을 정해 김 서장에게 통보할 방침이다.


검찰은 김 서장뿐만 아니라 당시 경찰 수사팀에 소속된 경찰들에 대해서도 조사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장병덕 전 서울청 사이버범죄수사대장, 이병하 전 수사과장, 이광석 전 수서경찰서장, 최현락 전 서울지방경찰청 수사부장 등 당시 경찰 지휘라인에 대한 수사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편 경찰은 지난 2012년 대선 3차 토론회가 끝난 직후인 12월16일 밤 11시 정치공작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취지의 국정원 직원 댓글 사건 중간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대선 직전 나온 경찰 발표는 박근혜 전 대통령 당선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이후 검찰이 김용판 전 서울청장을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 사건을 축소·은폐한 혐의로 기소했지만 대법원에서 최종 무죄 판결이 확정됐다. 이번 수사가 김 전 청장과 당시 댓글을 작성한 국정원 여직원을 보호한 구 여권 정치인으로 확대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