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은 평균 월급의 4분의1을 재테크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진=휴넷
/사진=휴넷

평생교육 전문기업 휴넷이 이같은 내용을 감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직장인 786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

이에 따르면 10명 중 9명 수준인 전체의 91.5%가 ‘현재 재테크를 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월급의 4분의 1을 재테크에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재테크 수단(복수응답) 1위는 ‘예∙적금’이 63.1%로 가장 많았다. 이어 ‘주식∙채권∙펀드’ 48.5%, ‘보험∙연금’ 33.3%, ‘부동산∙경매’ 24.8% 순이었다. 이외에 ‘금∙외화’ 2.5%, ‘P2P금융∙가상화폐’ 2.0%도 있었다.

월급 대비 재테크 투자 비중은 평균 25.5%로 집계됐다. 이는 월급의 4분의 1을 재테크에 투자하는 셈이다. ‘15~30% 미만’이 36.4%로 가장 많았으며, ‘0~15% 미만’이 34.4%로 뒤를 이었다. ‘30~45% 미만’ 13.1%, ‘45~60% 미만’ 10.1%, ‘60~75% 미만’ 4.1%, ‘75~99% 미만’ 1.5%, ‘100%’ 0.4% 순이었다.
재테크 투자 비중은 결혼여부에 따라서 차이를 보였는데, 미혼은 38%를 재테크에 투자하는 반면 기혼은 23.3%에 그쳐 미혼이 기혼보다 14.7% 정도 더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월 수입 대비 이상적인 재테크 비중은 평균 34.3%로 집계됐다. 이는 앞서 언급한 월급 대비 재테크 투자 비중보다 8.8% 높은 수치로, 현실과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15~30% 미만’이 36.9%로 1위를 차지했으며, ‘30~45% 미만’ 30.3%, ‘45~60% 미만’ 17.2%, ‘0~15% 미만’ 8.5%, ‘60~75% 미만’ 6.6%, ‘100%’ 0.5% 순이었다.

재테크 정보를 얻는 수단(복수응답)으로는 ‘은행 등 금융기관’이 41.5%로 1위를 차지했으며, ‘커뮤니티∙카페 등 인터넷’ 32.1%, ‘신문∙방송 등 언론’ 31.6%이 뒤를 이었다. ‘직장동료 또는 친구’ 23.7%, ‘재테크 관련 도서’ 22.9%, ‘전문가 상담’ 10.6% 등이 있었다.

재테크 목적(복수응답)은 ‘노후자금’이 76.7%로 가장 많았다. ‘자녀 양육비∙학자금’ 25.7%, ‘목돈 보유’ 22.3%, ‘내 집 마련’ 16.7%, ‘빚 청산’ 10.1%, ‘결혼 자금’ 6.1%, ‘창업 자금’ 5.6% 순이었다. 특히 재테크 목적은 결혼여부에 따라 결과가 나뉘었는데, 미혼의 경우 ‘목돈 보유’, ‘결혼자금’이라는 의견이 주를 이뤘으며 기혼은 ‘노후자금’, ‘자녀 양육비∙학자금’이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