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60%, "올해 비정규직 채용…이유는 낮은 비용부담"
강인귀 기자
3,903
공유하기
올해 중소기업 10개사 중 6개사 정도는 비정규직 인력을 채용할 것으로 조사됐다. 그리고 채용 이유는 상대적으로 인건비 부담이 덜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1월10일부터 12일까지 중소기업 661개사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이에 따르면 이번 설문에 참여한 중소기업 68.7%가 현재 사내에 ‘비정규직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종별로는 ▲금융업(90.9%) ▲전기.전자업(86.3%) ▲IT.정보통신업(85.5%) ▲교육.서비스업(79.1%) ▲식음료.외식업(75.4%) ▲유통.무역업(62.3%) 등의 순이었다.
그리고 비정규직 채용 계획에 대해서는 60.2%가 ‘채용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는데 이는 기존 비정규직 인력 근무 기업 비중 68.7% 보다 8.5% 정도 줄어든 수준이다.
비정규직을 채용하는 이유는 ▲’비용부담이 크지 않아서’란 응답이 26.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업무역량 검증 후 정규직으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도 25.9%로 많았다. 이 외에 ▲해당 직무가 단순하기 때문 21.6% ▲인력 관리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 14.8% ▲비용 대비 노동성이 좋기 때문 9.5% 등의 순이었다.
향후 비정규직 폐지에 대해 찬성하는 기업은 10개사 중 2개사 정도에 그쳤다.
잡코리아 조사 결과 20.9% 기업만이 ‘비정규직이 폐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67.9%는 ▲’비정규직을 유지하되,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나머지 11.2%는 기존대로 유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정규직 전환이 어려운 이유로는(*복수응답) ▲높아지는 인건비 부담이 응답률 71.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복리후생 등 추가 비용 발생(52.8%) ▲단순업무로 인한 정규직 전환 불필요(30.0%) ▲비정규직 인력의 역량 미달(11.6%)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비정규직 근무자들이 정규직으로 전환 시 기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으로는(*복수응답) ▲직원들의 애사심 고취가 응답률 61.3%로 가장 높았으며, 이 외에 ▲노사간의 신뢰 구축(40.4%) ▲향후 매출 및 성과 증대(30.3%) ▲즐거운 회사 분위기 조성(20.3%) 등의 의견이 있었다.
한편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최저임금 인상이 향후 비정규직 채용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비정규직 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하는 인사담당자가 47.7%로 가장 많았으며, ‘비정규직 채용이 오히려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인담자도 31.6%로 나타났다. 나머지 20.7%는 ‘최저임금 인상이 비정규직 채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 |
/사진=잡코리아 |
이에 따르면 이번 설문에 참여한 중소기업 68.7%가 현재 사내에 ‘비정규직 인력이 근무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종별로는 ▲금융업(90.9%) ▲전기.전자업(86.3%) ▲IT.정보통신업(85.5%) ▲교육.서비스업(79.1%) ▲식음료.외식업(75.4%) ▲유통.무역업(62.3%) 등의 순이었다.
그리고 비정규직 채용 계획에 대해서는 60.2%가 ‘채용할 계획이 있다’고 밝혔는데 이는 기존 비정규직 인력 근무 기업 비중 68.7% 보다 8.5% 정도 줄어든 수준이다.
비정규직을 채용하는 이유는 ▲’비용부담이 크지 않아서’란 응답이 26.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업무역량 검증 후 정규직으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도 25.9%로 많았다. 이 외에 ▲해당 직무가 단순하기 때문 21.6% ▲인력 관리가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 14.8% ▲비용 대비 노동성이 좋기 때문 9.5% 등의 순이었다.
향후 비정규직 폐지에 대해 찬성하는 기업은 10개사 중 2개사 정도에 그쳤다.
잡코리아 조사 결과 20.9% 기업만이 ‘비정규직이 폐지되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67.9%는 ▲’비정규직을 유지하되, 수정 및 보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나머지 11.2%는 기존대로 유지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기업들이 생각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정규직 전환이 어려운 이유로는(*복수응답) ▲높아지는 인건비 부담이 응답률 71.4%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복리후생 등 추가 비용 발생(52.8%) ▲단순업무로 인한 정규직 전환 불필요(30.0%) ▲비정규직 인력의 역량 미달(11.6%) 등의 의견이 있었다.
반면, 비정규직 근무자들이 정규직으로 전환 시 기업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으로는(*복수응답) ▲직원들의 애사심 고취가 응답률 61.3%로 가장 높았으며, 이 외에 ▲노사간의 신뢰 구축(40.4%) ▲향후 매출 및 성과 증대(30.3%) ▲즐거운 회사 분위기 조성(20.3%) 등의 의견이 있었다.
한편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최저임금 인상이 향후 비정규직 채용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비정규직 채용이 줄어들 것’이라고 생각하는 인사담당자가 47.7%로 가장 많았으며, ‘비정규직 채용이 오히려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인담자도 31.6%로 나타났다. 나머지 20.7%는 ‘최저임금 인상이 비정규직 채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