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직 평균 근무시간, 9시간 42분…야근하면 두시간 늘어나
강인귀 기자
7,898
공유하기
20대~40대 사무직 직장인들의 근무시간은 하루 평균 9시간 42분인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이는 야근을 제외한 것으로 야근을 포함하면 근무시간은 11시간을 넘어섰다.
시원스쿨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시원스쿨의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진행됐으면, 20대~40대 사무직 남녀 직장인 466명이 참여했다.
설문에서 시원스쿨은 사무직 직장인들의 출퇴근 시간과 야근 횟수, 야근 시 추가 근무시간 등에 대해 개방형으로 질문했다.
이에 따르면 야근이 없는 날은 오전 8시 46분에 출근하고 오후 7시 28분에 퇴근해 하루 평균 9시간 42분(점심시간 제외) 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주 2.2회 야근을 하는 날에는 평균 3시간 18분을 더 일해, 오후 10시 46분경에 회사를 나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즉, 야근 하는 날의 추가 근무 시간을 포함해 주5일 평균 근무시간을 계산해 보면, 직장인들은 하루 11시간 9분(점심시간 제외) 일하고 오후 8시 55분에 퇴근했다.
한편 올 7월부터 순차적으로 근로시간이 52시간으로 단축되면 현재보다 퇴근 시간이 빨라져 저녁 있는 삶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설문에 참여한 20대~40대 사무직 직장인들은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해 저녁 있는 삶이 가능해 진다면 가장 하고 싶은 일(*복수응답)로 ‘운동(50.6%)’과 집에서 휴식하고 일찍 잠들기(46.1%)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TV보기, 음악듣기, 혼술하기 등 혼자만의 시간 갖기(38.8%) ▲가족과 저녁식사(13.7%) ▲외국어 공부(12.4%) ▲대학원 진학 또는 자격증 공부 등 자기계발(11.2%) ▲악기 배우기, 영화보기 등 취미생활 하기(3.6%) 등을 하고 싶다고 답했다.
하지만 근로시간 단축이 제대로 시행될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품는 이들이 많았다.
근로시간 단축이 시행되면 기업들이 이를 잘 지킬 것이라 생각하는지 질문에 78.3%가 ‘안 지켜질 것이다’고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 이유(*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사업주의 마인드가 달라지지 않아서(41.2%) ▲눈치보기식 야근문화가 쉽게 없어질 것 같지 않아서(32.4%) ▲업무량이 많아서(24.0%) ▲정부 관리 및 단속이 허술할 것 같아서(13.9%) 등을 꼽았다.
![]() |
/사진=이미지투데이 |
시원스쿨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시원스쿨의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통해 진행됐으면, 20대~40대 사무직 남녀 직장인 466명이 참여했다.
설문에서 시원스쿨은 사무직 직장인들의 출퇴근 시간과 야근 횟수, 야근 시 추가 근무시간 등에 대해 개방형으로 질문했다.
이에 따르면 야근이 없는 날은 오전 8시 46분에 출근하고 오후 7시 28분에 퇴근해 하루 평균 9시간 42분(점심시간 제외) 일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주 2.2회 야근을 하는 날에는 평균 3시간 18분을 더 일해, 오후 10시 46분경에 회사를 나서는 것으로 집계됐다.
즉, 야근 하는 날의 추가 근무 시간을 포함해 주5일 평균 근무시간을 계산해 보면, 직장인들은 하루 11시간 9분(점심시간 제외) 일하고 오후 8시 55분에 퇴근했다.
한편 올 7월부터 순차적으로 근로시간이 52시간으로 단축되면 현재보다 퇴근 시간이 빨라져 저녁 있는 삶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설문에 참여한 20대~40대 사무직 직장인들은 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해 저녁 있는 삶이 가능해 진다면 가장 하고 싶은 일(*복수응답)로 ‘운동(50.6%)’과 집에서 휴식하고 일찍 잠들기(46.1%)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다음으로 ▲TV보기, 음악듣기, 혼술하기 등 혼자만의 시간 갖기(38.8%) ▲가족과 저녁식사(13.7%) ▲외국어 공부(12.4%) ▲대학원 진학 또는 자격증 공부 등 자기계발(11.2%) ▲악기 배우기, 영화보기 등 취미생활 하기(3.6%) 등을 하고 싶다고 답했다.
하지만 근로시간 단축이 제대로 시행될지에 대해서는 의문을 품는 이들이 많았다.
근로시간 단축이 시행되면 기업들이 이를 잘 지킬 것이라 생각하는지 질문에 78.3%가 ‘안 지켜질 것이다’고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그 이유(*복수응답)에 대해서는 ▲사업주의 마인드가 달라지지 않아서(41.2%) ▲눈치보기식 야근문화가 쉽게 없어질 것 같지 않아서(32.4%) ▲업무량이 많아서(24.0%) ▲정부 관리 및 단속이 허술할 것 같아서(13.9%) 등을 꼽았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
-
강인귀 기자
머니S 강인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