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금융권의 대출문턱이 올라가면서 신규 대출 받기가 깐깐해졌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대출금리도 올라 대출자의 빚 부담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은행은 2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 보고서'에 따르면 취약차주들의 원리금 상환액이 연 소득의 70%에 달했다. 취약차주는 3개 이상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하위 30%) 또는 저신용(7∼10등급)인 대출자를 뜻한다.


취약차들의 DSR은 2분기 말 67.6%로 전체 차주 평균(38.8%)보다 30%포인트 가까이 높다. 금리가 오르면 취약차주부터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이들 차주의 신용대출 비중은 지난 2분기말 43%로 일반 차주(23.5%)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은행 대출 비중도 일반 차주는 41.5% 정도이지만 취약차주의 경우 65.5%에 달했다.

DSR 수준이 100%를 초과하는 가계의 차주 비중은 고신용(52.9%)·고소득(37.3%) 위주로 높다. 상대적으로 빚 상환에 취약한 저소득(32.3%), 60대 이상(20.1%) 차주의 비중도 늘어나는 추세다. 아울러 담보대출 보유 비중을 통해 차주의 자산 정보를 간접적으로 추정한 결과 DSR 수준이 높을수록 담보대출 비중이 상승했다.


또 자산정보 파악이 가능한 가계금융복지조사를 통해 금융부채 보유 가구의 부채 대비 자산 규모를 살펴보면 DSR 100% 초과 가구중 총자산이 금융부채를 상회하는 비중이 93.4%로 집계됐다. 다만 DSR 100% 초과 가구의 58.3%가 금융자산보다 많은 금융부채를 보유하는 등 차입을 통해 실물자산을 확대함에 따라 유동성 측면의 채무상환능력은 다소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정부의 강력한 대출 규제로 가계빚은 크게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기존 주택담보대출 차주가 추가로 대출을 받기가 어려워지면서 대출증액분이 연간 7~8조원 줄고 상환·해지와 연계된 대출은 2조원 감소했다. 전세대출도 2주택 이상 보유자와 1억원 이상 고소득자에 대한 보증제한 규제로 신규대출 규모가 연간 4000억~6000억원 줄어들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