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김재천 전 주호찌민 영사 페이스북 캡처
/사진=김재천 전 주호찌민 영사 페이스북 캡처

박근혜정부 시절 현직 영사 신분으로 최순실의 인사 개입을 내부고발해 주목받았던 김재천 전 주호찌민 영사가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의 폭로 사태에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보였다.

김 전 영사는 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신재민씨는 다른 공익제보자의 그것과 다른 모습을 보여줬다"며 "공익제보자들은 대부분 자기의 자리를 지키며 불이익을 감수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만약 신재민씨가 공무원직을 유지하면서 행동했다면 정직 3개월, 해임 등 조치를 받았을 것"이라며 "본인은 자신의 주장이 옳다고 생각해서 한 행동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상식적으로 많은 국민의 공감을 사지 못한다면 이는 반성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자기가 속한 조직의 의견에 청와대가 압력 운운하는 것은 극단적인 부처 이기주의이며 경제부총리가 대한민국 경제를 좌지우지한다는 기획재정부 직원들의 우월의식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신재민씨가 청와대로부터 전화받고 의기소침한 재정부국장 등 자기 식구들이 안돼 보였을 수 있지만 이는 개인감정의 문제이지 '공익제보'를 운운할 문제는 아니라고 본다"고 적었다.

또 "신재민씨는 식구들을 걱정하는 식으로 이야기하지만 자신의 행동이 식구들에게 얼마나 해가 되는지 헤아려봤어야 했다"며 "결국 '자신을 위해 감행한 행동'이라고 볼 수밖에 없다. 이는 매우 이율배반적인 태도"라고 일갈했다.


끝으로 김 전 영사는 "생각은 자유이나 자신의 행동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라며 "그것이 모든 공익제보자들의 자기희생적 자세이기 때문"이라고 글을 마무리지었다.

한편 김 전 영사는 지난 2016년 한 종편과 인터뷰를 통해 최순실씨가 베트남 주재 고위 공무원의 인사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폭로해 주목받았다.


당시 그는 자신의 폭로 이후 업무에서 배제되고 따돌림을 받는 등 보복에 시달려 왔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