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명희 피자, "속이 편안한 피자 '진도 흑미가루' 건강웰빙으로"
강동완 기자
7,749
공유하기
천정효·선명희 '선명희 피자' 대표
2000년대 중·후반 '피자헛'과 '도미노피자', '빨간모자피자' 등등 수많은 피자 브랜드들이 각축을 벌이던 ‘피자시장의 전성기’가 있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그 많던 피자 브랜드들이 시야에서 사라지기 시작했다.
편의점과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간편식·HMR의 성장, 그 외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먹을거리들이 늘어나면서 피자라는 아이템은 제자리를 찾지 못하는 듯 했다. 그러나 피자는 사라진 게 아니라 또 다른 방향과 방식으로 소비자들 가까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예전과 비교했을 때 크게 눈에 띄지 않을 뿐, 피자는 꾸준히 자신만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던 것이다.
월간외식경영에 소개된 '선명희 피자'는 그런 사례에 딱 어울리는 브랜드 중 하나다. 2006년, 서울 중랑구 면목동의 좁은 골목 안에서 33m²(10평)규모 작은 피자집으로 시작한 이 브랜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가맹사업을 시작해 현재 전국에 17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진도산 흑미의 자가제빵’을 키워드로 내세워 건강한 피자를 강조하고 있는 것은 물론, 26~33m²(8~10평) 규모 매장에서 5000~6000만원의 월평균매출을 올리고 있을 정도로 실속 있는 운영실적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게다가 지난해 말에는 ‘창업 시 3년간 로열티 면제’, ‘3년 유지 시 가맹비 반환’ 등의 제도를 만들어 시행한 바 있으며, 올해부터는 가맹점주의 휴식을 위해 본사 직원이 각 가맹점에 파견되는 ‘가맹점주 휴식일 위탁운영제도’를 점차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선명희 피자'를 론칭한 지 13년 만에 본격적인 가맹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프랜차이즈 사업은 빠르게 확장해나가기 시작했다. 가맹사업을 시작한지 몇 달 만에 10여개 가맹점을 오픈하게 된 거다.
‘진도 흑미가루를 사용한 자가제빵’이라는 슬로건도 이때부터 자주 사용했다. 건강을 생각한 ‘속이 편안한’ 피자, 이런 콘셉트로 매장 수가 점점 더 빨리 늘어나게 됐다.
33m²(10평) 내외의 매장당 월 매출이 5000~6000만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면서 주변을 둘러볼 여유도 가지게 된 거 같다.
정기적으로 동사무소와 연계해 결식아동이나 소년소녀 가장에게 피자를 100판 이상 만들어주는 일도 하게 된 거다. 올해 안엔 100호점 오픈이 목표다.
2000년대 중·후반 '피자헛'과 '도미노피자', '빨간모자피자' 등등 수많은 피자 브랜드들이 각축을 벌이던 ‘피자시장의 전성기’가 있었다. 하지만 언젠가부터 그 많던 피자 브랜드들이 시야에서 사라지기 시작했다.
편의점과 온라인을 중심으로 한 간편식·HMR의 성장, 그 외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먹을거리들이 늘어나면서 피자라는 아이템은 제자리를 찾지 못하는 듯 했다. 그러나 피자는 사라진 게 아니라 또 다른 방향과 방식으로 소비자들 가까이 자리를 잡고 있었다.
예전과 비교했을 때 크게 눈에 띄지 않을 뿐, 피자는 꾸준히 자신만의 영역을 넓혀가고 있었던 것이다.
![]() |
월간외식경영에 소개된 '선명희 피자'는 그런 사례에 딱 어울리는 브랜드 중 하나다. 2006년, 서울 중랑구 면목동의 좁은 골목 안에서 33m²(10평)규모 작은 피자집으로 시작한 이 브랜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가맹사업을 시작해 현재 전국에 17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진도산 흑미의 자가제빵’을 키워드로 내세워 건강한 피자를 강조하고 있는 것은 물론, 26~33m²(8~10평) 규모 매장에서 5000~6000만원의 월평균매출을 올리고 있을 정도로 실속 있는 운영실적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게다가 지난해 말에는 ‘창업 시 3년간 로열티 면제’, ‘3년 유지 시 가맹비 반환’ 등의 제도를 만들어 시행한 바 있으며, 올해부터는 가맹점주의 휴식을 위해 본사 직원이 각 가맹점에 파견되는 ‘가맹점주 휴식일 위탁운영제도’를 점차적으로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한다.
'선명희 피자'를 론칭한 지 13년 만에 본격적인 가맹사업을 진행하게 된다. 프랜차이즈 사업은 빠르게 확장해나가기 시작했다. 가맹사업을 시작한지 몇 달 만에 10여개 가맹점을 오픈하게 된 거다.
‘진도 흑미가루를 사용한 자가제빵’이라는 슬로건도 이때부터 자주 사용했다. 건강을 생각한 ‘속이 편안한’ 피자, 이런 콘셉트로 매장 수가 점점 더 빨리 늘어나게 됐다.
33m²(10평) 내외의 매장당 월 매출이 5000~6000만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면서 주변을 둘러볼 여유도 가지게 된 거 같다.
정기적으로 동사무소와 연계해 결식아동이나 소년소녀 가장에게 피자를 100판 이상 만들어주는 일도 하게 된 거다. 올해 안엔 100호점 오픈이 목표다.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보도자료 및 기사 제보 ( [email protected] )>